d라이브러리
"뉴스"(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아이 적게 낳은 여성이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20세기 이후 여성의 수명이 남성보다 길어진 이유가 저출산 때문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스웨덴 웁살라대 진화생물학센터 엘리자베스 볼룬드 박사팀은 미국 유타주 주민 14만60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1800년대 초·중반에 태어난 여성은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2년 더 짧았던 반면, 1900년대 ... ...
- [과학뉴스] 잠 못 이루는 당신, 게임을 끊어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면 부족으로 만성피로에 시달리고 있다면 게임부터 그만두는 것이 좋겠다.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2시간 가량 늦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미국 노스텍사스대 브랜디 로엔 교수팀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성인 963명(평균 나이 28.7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특정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능력이 새에게서 관찰된 적은 있지만 물고기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영국 옥스퍼드대와 호주 퀸즐랜드대 공동연구팀은 공중에 있는 먹이를 잡기 위해 입으로 물총을 쏘는 물총고기(Toxotes chatareus )의 수조 위에 모니터를 설 ... ...
- [과학뉴스] 화산 없는데 땅 밑에 웬 마그마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뉴질랜드 어느 해안 마을의 지층 밑에서 마그마가 형성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화산 지대가 아닌 곳에서 마그마 형성이 관찰된 건 이례적이다.뉴질랜드 정부 소속 지진연구소(GNS Science)의 이안 햄링 박사팀은 GPS데이터와 위성 이미지를 사용해 뉴질랜드의 지각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오 ... ...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판타지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호빗’처럼, 키와 몸무게가 인간의 절반밖에 안 되는 종족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호주 그리피스대 인간진화연구소 아담 브룸 박사팀은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소아 분지에서 키가 1m 남짓한, 현생인류의 친척 ‘호모 플 ... ...
- [과학뉴스] 화성 암석, 복잡한 탄생 비화 드러나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화성의 암석 형성 과정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복잡하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나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화성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사진)’가 발견한 광물을 분석한 결과, 과거 화성에서 이산화규소(SiO2)가 풍부한 화산활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큐리오시티는 지난해 ... ...
- [과학뉴스] 물고기는 뇌가 작아야 건강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최근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 알렉산더 콧샬 박사팀은 뇌가 작은 물고기가 뇌가 큰 물고기에 비해 면역력이 뛰어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동물들은 진화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모든 기관들을 한 번에 발달시키지 못해요. 발달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한정되어 있어서 한곳을 집중적으로 발 ... ...
- [수학뉴스] 수능 잘 보는 비법은 아침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매일 아침 많은 친구들이 학교에 가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조금이라도 더 자느냐, 아침밥을 먹느냐의 문제죠.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침밥을 꼭 챙겨 먹는 게 좋겠습니다.질병관리본부는 아침밥을 매일 먹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성적이 더 높다고 발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뉴스 속보입니다.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서울의 한 병원에서 발생했습니다. 감염자는 지능이 낮아지고 피부가 썩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몸이 뒤틀리고 행동도 느려집니다. 문제는 감염이 쉽다는 것입니다. 감염자는 팔다리를 물어뜯는 등 매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공격을 ... ...
- [과학뉴스]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35억 년에 1초가 어긋나지 않는다고 알려진, 세상에서 가장 정밀한 시계인 광시계를 맞출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해 떨어져 있는 두 개의 광시계를 5시간에 40fs(펨토초, 1fs=1000조 분의 1초) 이하의 오차로 맞추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피지컬리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