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위진남북조시대에는 9기일뿐이다. 이후 수·당(7-10세기) 시기에도 천문벽화는 7기만이
남아
있다. 고분의 천문벽화가 발생지인 중국에서는 오히려 쇠퇴하고 말았지만 고구려에서는 활짝 꽃을 피웠던 셈이다.그렇다면 고구려 천문벽화에는 어떤 것들이 그려져 있을까? 김 박사는 평안남도 남포시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출판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지 모른다. 또한 그의 새 이론이 틀릴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그의 새로운 이론이 정보소실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지는 많은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아직 호킹 복사 증거도 못찾아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호킹 복사의 증거를 찾으려고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합니다.”교사들은 윤 교수의 지도에 따라 사방 50cm, 깊이 30cm 안의 갯벌을 체로 쳐서
남아
있는 동물들을 통에 담느라 여념이 없다. 그런데 생각보다 수집된 양이 많지 않다. 저만치에서 호미로 갯벌을 뒤엎고 있는 최종인씨가 보인다.“최 선생님, 뭐 하세요?”“갯벌이 영 시원찮아요. 예전엔 이 ... ...
낙천적인 엄마가 아들 낳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산부인과대 피터 보웬-심프킨스 박사는 “1차 세계대전에서 남자가 엄청나게 죽은 뒤
남아
가 많이 태어났다”며 아이의 성별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21층을 단번에 올라갈 배낭로켓의 시대가 도래하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안전성의 문제, 효율성의 문제, 그리고 기술적인 한계까지. 만화 같은 세상을 만드는 일은 결코 만화처럼 간단하진 않다. 그러나 ‘차세대 연료’ 후보들이 앞다퉈 개발되고 있는 요즘, 배낭로켓은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하고, 일반적으로는 온대의 하록활엽수림만을 가리킨다지역적으로는 동
남아
시아· 유럽 중부 · 북아메리카 동부에 분포하고 전세계 산림면적의 30%를 차지한다온대 · 아열대 해수역(海水域)에 서식하는 어류 난해성(暖海性) 어류라고도 한다10~30℃의 수온 범위에 사는 어류로서 수온범위가 좁아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하지만 언제나 변함없이 떠오를 것만 같은 태양도 영원히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
남아
있지는 않을 것 같다. 앞으로 남은 태양의 수명이 약 50억년이라고 하니 말이다. 태초에 빛을 선사한 이래로 변함없이 타오르던 태양도 결국은 그 빛을 잃어버리고 차갑게 식어버릴 운명 앞에 놓여 있다.혹시나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黃體) 호르몬이 있다태생시(胎生時)에 심방중격(心房中隔)의 난원공(卵圓孔)이 개방된 채
남아
있는 이상 태생시의 난원공은 우방(右房)에서 좌방(左房)으로 흘러 들어가는 혈액을 통해 태생시의 혈액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출생 직후에는 하대정맥(下大靜脈)과 우방의 내압강하(內壓降下) 및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개발하는 것이 더 어렵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아직까지 바다는 우리에게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다.현재 이런 극한의 한계를 뛰어 넘어 개발 중인 한국해양연구원의 무인잠수정은 정확히 말해 ‘복합형 수중로봇 시스템’ 형태를 띤다.혼란을 막기 위해 먼저 잠수 ‘함’ 과 잠수 ‘정’ 의 차이를 ... ...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신경세포가 제거되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 자그마치 6개월 후까지 죽은 세포의 잔유물이
남아
있기도 한다. 이에 비해 말초신경의 경우 손상된지 6일 정도 지나면 죽은 세포 잔유물이 관찰되지 않는다.게다가 손상된 중추신경세포는 말초신경세포에 비해 제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