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런 기반을 조성하는 게 재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결과적으로 집단 내의 모든 사람들은 자신이 과거에 행한 상호작용에 따라 남들로부터
계속
평가되고 재평가된다”(도덕 체계의 생물학 85쪽). 이처럼 간접 상호성은 나와 무관한 제삼자가 남을 돕거나 외면하는 모습을 목격하거나 전해 듣고서 제 삼자의 행동을 도덕적으로 판단하는 마음을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흑인 인권 운동가 마틴 루터 킹이 주도한 흑인 투표권 쟁취 운동.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소식을 접한 기자는 지난 10월 프랑스 남부에 있는 몽펠리에를 찾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있으면 끝까지 하는 그의 성품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여러 분배법 중 작업 동선을 가장 편하게 만드는 답을 고르면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푸드트럭 성공공식Part 1. 핫스팟을 찾아라!Part 2. 재료를 준비하라!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상자 4개를 완성했어도 여전히 상자가 5개 남았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우선 게임을
계속
진행하면서 어떤 전략을 선택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죠. 첫 번째 전략을 택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레드는 상자 4개를 완성한 뒤 다시 선분 한 개를 그려야합니다. 다른 곳에 그려도 결과는 같으니 151쪽의 ... ...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대량으로 버려진 공중전화부스.➌ 가난한 나라에 버려진 폐전자제품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Part 2. 금부터 희소금속까지, 폐전자제품에는 자원이 가득!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그 결과 우리는 지금의 커다랗고 달달한 수박을 먹을 수 있게 된 거예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판이 한반도에 미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위치나 규모가
계속
달라진다”며 “포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지진 발생이 잦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3. 지열발전소 공사가 지진 방아쇠 당겼나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이번 지진의 진앙에서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