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382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암제 '시스플라틴' 암 세포 증식 막는 접착제 역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확인했다. 강하게 잡아당기는 물리적 자극이나 고농도의 소금물 같은 화학적 자극에도
반응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시스플라틴이 마치 접착제처럼 작용해 크로마틴의 변화를 막아 항암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시스플라틴의 표적이 순수 DNA라기보다 응축된 상위 ... ...
한국형 인공태양 KSTAR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30초 운전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분리돼있는 플라즈마 상태로 만든 뒤 1억 도 이상의 초고온으로 가열·유지해 핵융합
반응
을 일으킨다. KSTAR는 국내 기술로 완성한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로 2008년부터 핵융합에너지 실현의 핵심인 초고온 플라즈마의 장시간 유지를 위한 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8년 핵융합 ... ...
22일부터 초중고 전면 등교…집단감염 막을 방법은 '마스크 착용'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학부모들이 자녀에게 코로나19 백신을 맞게 할 경우 접종 후 이상
반응
을 우려한다. 청소년이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대부분 무증상에 그친 다는 것도 이유다. 실제로 질병관리청 집계 결과 22일 0시 기준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 0~19세 소아청소년은 ... ...
단백질 구조체 레고 블록처럼 조립해 효과적으로 약물 전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3D) 구조의 대칭형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조립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서로 특이적으로
반응
하는 두 쌍의 단백질과 리건드를 활용해, 구조체의 중심이 되는 단백질에 두 종류의 단백질을 반복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레고 블록을 쌓는 것과 같은 방법”이라며 “단백질 구조체의 크기와 ... ...
12~17세 자녀 코로나 백신 접종해야 하나...전문가들도 의견 엇갈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8
안심할 수 있게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면서 "지금 가장 중요한 부분이 심장에 대한 이상
반응
이기 때문에 접종 후 가슴이 아프거나 불편해진다면 의료기관에 방문하라"고 강조했다 ... ...
올해 과학수사대상에 미세증거물 개념 도입한 홍성욱 교수
연합뉴스
l
2021.11.18
유전자 같은 좋은 수단이 있는데 왜 또 미세증거물 같은 걸 얘기해서 헷갈리게 만드냐는
반응
도 있었다. 지금이니 할 수 있는 얘기"라고 웃었다. 홍 교수는 "2006년 소개했을 당시 선진국들보다 연구가 100년은 늦은 상황이었지만, 이제는 그 수준이 '글로벌 클래스'"라고 자부했다. 그는 ... ...
면역력 약한 고령층 위한 단백질 백신 가능성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참가자로부터 혈액 샘플을 기증받아 테스트한 결과 새롭게 설계한 단백질 백신은 면역
반응
을 활성화하고 mRNA 백신 접종과 맞먹는 수준의 중화항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단백질 백신은 추가접종(부스터샷)이 요구되는 고령층에 대한 접종에 효율적일 것으로 ... ...
[랩큐멘터리] 버려지는 열로 전기와 수소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열및에너지연구실은 1000도 미만의 열에너지로 물을 분해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물질과
반응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진현규 교수가 이끄는 열및에너지연구실은 영하 271도에 가까운 매우 ‘차가운 열’과 1500도에 달하는 ‘뜨거운 열’을 모두 다루고 있다. 올해 초에는 에너지 연구 분야 ... ...
[과기원은 지금] 전해액 첨가제로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반응
을 말한다. 연구진은 빛으로 화학
반응
을 멈출 수 있는 촉매 기술로 빛을 받으면
반응
이 멈추는 최초의 촉매 기술이라고 밝혔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한상윤 로봇공학전공 교수가 유경식 KAIST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광 반도체를 미세하게 움직이는 기술을 활용해 광 신호를 ... ...
미국서 야생사슴 코로나19 집단감염 확인... '바이러스 저장소' 가능성 얼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반응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코로나19 특화 항체에
반응
했지만 실제로는 소 코로나바이러스일 수도 있어 PCR을 통한 확실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 코로나바이러스는 소와 사슴, 순록, 기린 등에 전파가 잘되는 바이러스다. 홍정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