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과목을 주로 공부했고, 박사학위도 CFD 관련된 연구를 해서 받았다. 공기나 물의 흐름을 컴퓨터를 이용해 파악하는 학문이다. 결국 비행기란 이런 흐름을 조종하는 기계장치를 만드는 것이니 이미 석사과정 때 항공 과학자로서의 기틀을 다진 것이다. 그는 “미국은 큰 나라다 보니 지리공부도 할 수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위해 대학원에 진학해 박사 학위까지 받았다. 석사 과정에 진학하면서는 당시 주목받던 컴퓨터공학을 택했다. 그렇게 나만의 기술과 강점을 만들어 나갔다. 박사 논문은 얼굴 애니메이션을 자동으로 만드는 기술에 대한 것이었는데, 이게 시그라프에 발표되는 영광을 안았다. 그가 공부했던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상태에서 몸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술이었으며 20세기에 초음파영상진단 및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출발점이 됐다. 또 방광경, 검안경 등의 다양한 진단기구가 개발됐는데 이는 인체의 좁은 통로를 통해 그 안의 장기에 접근해 수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로 인해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 전 이사는 복학 후 진로를 정하는 과정에서 선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그는 컴퓨터공학 중에서도 어떤 전공을 할지, 어떤 회사가 전망이 있는지 등을 선후배들 간의 술자리에서 묻고, 조언을 들었다. “당시에 전자 쪽이 경기가 좋았습니다. 사람도 많이 필요했고요. 특히 SK텔레콤이 세계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유방 절제 수술을 한 것도 이런 게놈 분석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식산업 상품으로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합쳐서 장비를 만들고 여기에 게놈 관련 개인 예측 서비스나 연구자들이 쓰는 해독정보서비스를 융합시키는 것이다. 이는 하드웨어도 팔고 프로그램도 팔고 서비스도 파는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경우 항공우주공학 전공자는 15% 정도이며 나머지는 수학, 천문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등으로 다양한 분야를 전공했다. 항공우주공학 이외의 분야가 인공위성 개발에 중요한 유관 분야지만, 이 분야들의 전공자는 얼마든지 인공위성 개발 이외의 다른 직업을 택할 수 있다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기계공학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CNC(수치제어) 분야에 흥미를 느꼈다. 쉽게 말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자동화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금은 흔히 쓰는 말이지만 그 당시에는 ‘자동제어’라는 단어 자체를 들어보기 어려운 시절이었다. CNC 기술은 로켓 등의 정밀무기는 물론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성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코드를 계속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참은 컴퓨터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분자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유기체의 모든 원자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물분자, 이온까지 포함해 실제에 가깝게 분자들의 화학반응과 역동적인 ... ...
- INTRO. 노벨 과학상 2013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끌었다. 생리의학상은 다시 한번 기초 생화학 분야가 수상했고, 화학상은 독특하게도 컴퓨터와 관련한 이론화학자들이 받았다. 다채로운 2013년 노벨 과학상의 이모저모를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생리의학상 - ... ...
-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세계 최초 시험 비행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현재는 비행기를 눈으로 보면서 조종해야 하지만, 향후에는 지상에 마련된 조종석에서 컴퓨터로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최고 3km 상공까지 올라가 5시간 이상 날 수 있고, 최고 시속은 250km다.‘KUS-TR’는 활주로가 필요 없이 프로펠러를 수직으로 움직여 헬기처럼 제자리에서 뜰 수 있다. 가속 비행 때는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