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요인
까닭
근거
동기
이유
기원
d라이브러리
"
원인
"(으)로 총 4,38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꿰뚫는 코드, 단순함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있다.푸앵카레는 1908년 ‘과학과 방법’이란 책에서 ‘우리가 알아채지 못한 매우 작은
원인
이 절대 놓칠 수 없는 결과를 불러온다’고 적었다. 그는 기상예보를 주제로 불확실성에 대해 심도 있게 다뤘다. 기상학자들이 날씨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모든 현상이 우연히 생긴듯 보이기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메신저 RNA이다세균에서부터 고등동식물에 이르는 각종 세포 속에 들어 있으며, 그 정보
원인
DNA와 비슷한 염기 조성을 가지고 있다 유기(有機) 주석화합물의 합성법 1883년 G 메이어에 의해 발견되었다할로겐화알킬과 아주석산(亞朱錫酸)나트륨에서 알칼주석산의 나트륨을 얻는 반응이다 1845~1916 ... ...
PART2 엘니뇨 사냥꾼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같은 주요 곡물 가격이 지난 해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꾸준히 오른 것이다. 그는 첫 번째
원인
으로 아시아 국가의 빠른 경제성장을 들었다. 세계 인구의 37%를 차지하는 중국과 인도는 이제 곡물을 빨아들이는‘블랙홀’이 됐다. 여기에 엘니뇨 효과도 더해졌다. 심한 가뭄으로 미국과 호주의 밀 ... ...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이날 서해대교의 가시거리는 60~80m. 안개 때문에 극히 짧아진 가시거리가 사고를 키운
원인
이었다는 말이다.제 2의 서해대교 사건을 막기 위해 뭔가 대책이 필요하다. 서해대교에 끼는 안개를 없앨 수는 없다. 하지만 ‘밀리미터파’가 사고를 막을 수 있다.전파에 정보를 담아 보낼 수 있다는 사실이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질량을 측정해 비율을 검사하는 진단이 체성분 검사다.비만 조절하는 단백질비만의
원인
은 식욕을 참지 못하고 음식을 필요 이상으로 먹기 때문이다. 일본 군마대 모리마사모토 교수팀은 뇌에서 만들어지는‘네스파틴-1’(Nesatin-1)이란 단백질이 식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누가 가장 많은 홈런을 칠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의혹을 제기하기도 하고, 제2의 전성기라며 긍정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무엇이 정확한
원인
인지 알 수 없지만 본즈의 통산 홈런수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같은 경향을 예측 공식에 반영해야 한다. 통산 홈런수가 경기를 치르면서 S자 곡선을 나타낸다는 가정과 1999년 이후의 변화를 고려해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어려워 소음을 완전히 없애는 데는 한계가 있다.김 탐정은 폭탄이 떨어지지 않는 문제의
원인
을 밝혔다. 현재 시각 15시 25분. 이 교수에게 들었던 내용을 다시 정리해 문제의 e메일에 답변을 보냈다.스텔스가 집으로 들어온다?!“삐리리리~, 삐리리리~”김 탐정의 자명종은 오늘도 6시 45분에 시끄럽게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위 점막 샘플에서 박테리아가 자라있는 걸 발견했다. 이것이 위궤양을 일으키는
원인
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다. 마셜 교수는 로빈 워렌 연구원과 함께 이 박테리아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노벨위원회 스텐 그릴너 위원은 ‘우연과 준비된 마음’이 위대한 발견으로 이어졌다고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어른들은 숫자를 좋아한다며 풍자했지만, 현대문명이 발달할 수 있었던
원인
을 살펴보면 매사에 ‘수량화’하기 좋아하는 인류의 습성이 한몫했다고 할 수 있다.길을 걷다가 높은 건물을 볼 때면 ‘얼마나 높을까?’라는 궁금증을 갖는다. 몇층짜리인지 세보고 1층이 몇m인지 생각해 건물 높이를 ... ...
'최후의 심판', 최후 맞을 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큰 변화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푸른색(울트라 마린 블루)이 계속 변하고 있고 그
원인
을 아직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이다.다행히도 미국 뉴욕대의 렉세이 제르코프 교수팀이 푸른색 안료가 왜 변색하는지 알아냈다고 미국 온라인 과학뉴스 ‘사이언스데일리’가 10월 10일자에 보도했다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