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림으로 보는 난제] 수학문제 분류소, P와 NP는 같을까? 다를까?수학동아 l2019년 09호
- 문제를 빨리 푸는 알고리듬을 모르면 정답을 찾지 못할 수도 있죠. 백만 달러, 한화로 약 11억 1500만 원의 상금이 걸린 7대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인 ‘P-NP 문제’는 ‘답을 빨리 찾는 알고리듬을 모르는 문제도 언젠가 그 알고리듬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 이어지는 ... ...
- [특집]포항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서울에서까지 땅의 흔들림이 느껴질 정도로 그 규모가 대단했답니다.그런데 그로부터 약 1년 반이 지난 3월 20일, 다시 포항 지진이 주목받고 있어요. 지진이 난 건 이미 오래 전인데, 왜 이제 와서 다시 포항 지진이 이슈가 되는 걸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포항지진Part 1.포항 지진,왜 ... ...
- 사람이 지진을 일으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852번 일어난 데 비해, 2009년부터 2018년 8월까지 3427번의 지진이 일어났답니다. 기간은 약 4배 짧은데, 지진의 빈도는 4배 늘어난 셈이지요. 즉, 수압파쇄법 때a문에 지진이 일어난 거예요. 사람이 땅을 뚫으면서 생기는 인공 지진은 미국만의 일이 아니에요. 지난 2월 25일 중국 룽셴 지역에서도 셰일 ...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을 테니까요. ●●● 증거 2 ●●●물 주입 이후, 지진이 났다?!지열발전소를 지을 때 약 150~250기압 정도의 수압을 가해 두 파이프 사이에 물이 오갈 수 있도록 물길을 뚫는 과정이 필요해요. 그런데 포항 지열발전소에서는 이보다 높은 압력으로 물을 넣었고, 이때마다 작은 지진이 일어났지요 ... ...
- [에디터노트] 모기와의 전쟁과학동아 l2019년 08호
- 2cm 이하. 손바닥 벽치기 한 번이면 바로 죽고 마는 미미하고 나약한 존재. 그런데 해마다 약 70만 명의 인간을 ‘살해’하는 최악의 인간 킬러. 모기 얘기다. 1993년, 고교 시절 마지막 여름은 그리 덥지 않았다. 대신 흐렸고, 습했고, 비도 자주 내렸다. 학교가 산자락에 있어서 모기가 많았다. 흔히 ...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학 골든벨, 경시대회 문제를 풀며 수학을 즐기는 대회다. 처음 대회를 열었을 때는 약 30개 조가 참가했는데, 금세 입소문이 나 2회 때부터는 지원한 조 중에 40개를 선발한다.참가자 모집부터 문제 출제 그리고 대회 진행까지 G.O.M 동아리원이 직접 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대회에서 가장 중요한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 개발에 착수한다고 6월 27일 발표했다. 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큰 타이탄은 지름이 약 5150km로 태양에서 14억km가량 떨어져 있다. 질소와 메탄으로 이뤄진 대기 등 초기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갖고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드래건플라이는 8개의 회전 날개를 갖춘 드론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모두 X여서 어떤 걸 물려받든 성별을 결정하는 데는 상관없다. 연구팀은 이를 노렸다. 만약 수컷의 정자에서 X 염색체를 망가뜨리면 Y 염색체만 후손에게 전달되고, 그 결과 계속해서 수컷만 태어난다. 이에 안드레아 크리산티 임페리얼칼리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X 염색체를 망가뜨리는 뉴클레이스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웨스팅하우스는 1891년 6월 19일 미국 콜로라도주 산미겔강에서 텔룰라이드 금광까지 약 4.2km에 걸쳐 교류 방식으로 전기를 보내는 데 성공했다. 이어서 170km 송전에도 성공했다.또 웨스팅하우스와 테슬라는 1893년 세계 만국박람회에서 백열등 9만6620개를 교류 방식으로 밝혔으며, 2년 뒤에는 ... ...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처럼 수증기를 끌어올려 터빈을 돌리는 지열발전 방식은 전세계 지열발전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지요.하지만 1970년대, 미국 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가 화산지대가 아닌 곳에서도 지열발전을 할 수 있는 ‘인공지열 저류층 생성 기술(EGS)’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그 결과 화산지대가 아닌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