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최근의 유가하락이 지열개발을 둔화시킬 염려도 없지 않다. 열수 이용 가능성은 충분한
반
도는 고온의 지열대를 포함하는 환태평양조산대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으며, 유라시아대륙의 안정된 대륙지각의 일부이다. 따라서 화산활동이 끝난지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 화산이나 지진활동은 거의 ... ...
핵가을모델에
반
론 제기돼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설의 요체다.연기입자층에 도달한 태양광은 여러 방향으로 퍼진다. 입자층에 흡수 또는
반
사되거나 그대로 통과하는 것이다. 흡수된 빛은 입자 표면근처의 원자들을 자극하기 시작한다.이때 연기입자가 어떤 모양이냐에 따라 태양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달라진다. 예컨대 아주 작은 입자일 경우에는 ... ...
열대신 고압으로 식품가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고 상품으로서 완성된 것은 아직 없다. 식품업계 민감한
반
응이 기술에 대한 기대를
반
여하듯 식품업계의 움직임도 민감하다. 지난해 가을 일본 교토대학 식량학과 연구소의 '하야시 리키조'교수를 중심으로 한 팀이 이에 대한 심포지엄을 연 뒤 지난 9월에는 농심수산성의 지원으로 식품업계와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쓴 비석이 외로이 서있다. 제5궁과 제4궁 사이의 거리는 1백20m, 4궁전 자리라고 쓴 비석은
반
쯤 부러져 땅에 떨어져 있다. 그 옆에는 주춧돌 몇개와 곰보같은 화산돌이 흩어져 있다.4궁에서 3궁까지의 거리는 50m, 이곳에서 동쪽으로 50m 되는 곳에 井자 모양의 돌로된 우물이 있다. 궁중의식수로 쓰던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특별한 사건에만 적용되는 특수이론인가, 아니면 모든 사건을 설명해주는 일
반
이론인가? 또 대멸종은 불규칙적인가, 아니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가? 화석을 통해 산출한 통계적인 분석에 따르면 대멸종은 2천6백만년을 주기로 일어나다고 한다. 그러나 이 자료는 주기설의 손을 들어주기에는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실험을 해왔다. 가속기는 우주탄생의 직후, 1초의 1조분의 2~3이 지난 때의 에너지상태를
반
들었다. 가속기 실험을 통해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일시키는 이론이 확인되었다. 더이상 흥분을 자아낼 실험은 유럽의 가속기가 완전히 가동된 89년 가을부터 시작되었다. 실험결과는 내년부터 나타나기 ... ...
AIDS가 남긴 숙제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병을 알고도 속수무책이었을 게 분명하다.그리고 1984년에 바이러스의 검출법을
반
견한 것도 평가할만한 성과이다.이제 AIDS관련학자들의 최대 관심은 백신의 개발에 모아져 있다. 그런데 이 작업은 그리 수월치 않다. 3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HIV가 매우 다루기 까다롭고 복잡한 바이러스라는 ... ...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수신 되었다고 모임에서 발표하였다. 즉 세계적인 발견을 한 셈이다.다른 나라 학자들의
반
응이 어떤지는 아직 모르겟지만 제시된 자료들을 보니 필자의 견해로는 상당히 신빙성이 있어 보였다. 물론 중력파 안테나의 경우는 그 정밀함이 생명일 것이다. 하지만 그다지 규모가 크지도 않은 ... ...
빛이 만들어 내는 찬란함 색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모든 사물은 빛이 있기 때문에 색을 갖는다.얼마만큼 정확히 색을 측정하고 표시하느냐는 우리가 생산해내는 모든 재화의 질을 결정한다.하늘과 땅과 바다와 수풀 ... 사용하고 있는 측색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일본 표준기관인 EIL로부터 교정받은
반
사율 표준판을 사용하고 있다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과학원을 선택했지만 전공이 생물학이라 생물공학과만 있는 과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반
드시 옳은 선택인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시험과목도 생소한 부분이 있고…. 그보다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여학생의 취업 문제입니다. 공부가 하고 싶어 계속하기는 하지만 장래 직업에 대해서는 저도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