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텐, 나인, 에잇, 세븐, 식스, 파이브, 포, 쓰리, 투, 원, 제로!” 2월 6일 오후 3시 45분(미국 시간)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 39A 발사대. 카운트다운이 끝나자 ‘팰컨헤비(Falcon Heavy)’가 엄청난 굉음을 내며 발사대를 박차고 하늘로 솟아올랐다. 관제실에서는 흥분 섞인 함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첫 번째 질문 자리가 운명을 결정한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있습니다. 주어진 역할과 책임감이 사람을 변화시킨다는 의미인데요. 일부 세포에게도 해당되는 얘기입니다. 발달 초기의 배아에서는 세포의 물리적인 위치가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거든요.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 ... ...
- 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가상화폐’인가 ‘암호화폐’인가, 그도 아니면 ‘가상통화’인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화폐의 정확한 명칭은 뭘까. 정부와 공기업들은 이들 세 가지를 혼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가상통화’라고 지칭하고, 법무부는 화폐가 아니라는 의미로 ‘가상증표’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 ... ...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UNIST는 2018학년도 입학 전형부터 큰 변화가 있었다. 정시모집을 폐지하고 100% 수시모집으로 신입생을 선발했다. 2019학년도에 UNIST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어떤 부분에 집중해야 할까. 곽상규 UNIST 입학학생처장(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을 만나 직접 들어봤다. UNIST 최근 연구 동향에 관심 가 ...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는 2012년 11월 설립 승인을 받은 뒤, 올해 2월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 첫 졸업생임에도 불구하고 34명이 서울대에 합격하는 등 상위권 대학으로의 진학률이 높아 주목받았다. 영재학교 중에서는 신생학교라고 할 수 있는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는 다른 과학영재학교와 어떻게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조선 후기 지금의 국무총리 격인 영의정에 8번이나 오른 최석정은 생전에 한 권의 수학책을 남겼습니다. 거기에 18세기 최고 수학자로 손꼽히는 레온하르트 오일러보다 먼저 발견한 직교라틴방진이 기록돼 있지요. 한평생 유학만 공부한 정치가가 어떻게 오일러보다 앞설 수 있었을까요? 애초에 마 ...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직도 모르는 ‘무언가’가 훨씬 많다. 그 무언가는 우주를 설명하는 궁극의 방정식 속에 숨어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ΛCDM 모형의 CDM에 해당하는 암흑물질은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27% 정도를 차지한다. 암흑물질의 ‘암흑’은 말 그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붙은 수식어다. 물체를 볼 수 있는 건 물체에 빛이 반사돼 우리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인데,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는 볼 수 없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조코비치보다 젊기 때문에 체력에서 유리했다.”1월 말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2018 호주오픈 테니스 대회. 정현은 16강전에서 세계 랭킹 1위 노바크 조코비치를 꺾으며 한국 선수로는 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8강 진출 기록을 세웠다. 그는 내친 김에 4강 진출까지 이뤄내며 ‘테니스의 황제’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사람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에너지를 가장 적게 쓰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살아가도록 수백, 수천만 년에 걸쳐 진화해왔다. 동물이 걷거나 뛰거나 나는 거대한 움직임은 사실은 아주 작은 신경세포 안팎을 이온들이 드나들면서 만든 신호에서 시작된다. 그것이 근육을 움직이고, 기관을 움직이며,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