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첫머리
말시초
서두
d라이브러리
"
말머리
"(으)로 총 2,447건 검색되었습니다.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발음의 정확성만 놓고 보면 어린이보다 낫다. 특히 단모음을 잘 발음한다.말을 잘하는 사람에게는 흔히 앵무새라는 별명이 붙는다. 실제로 앵무새는 사람의 말을 잘 흉내낸다.앵무새는 앵무새과(科)에 속한다. 이 과(科)에는 79속(屬) 3백26종(種)의 앵무새가 포함돼 있지만 모두 말을 하는 것은 아니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핵산이 없는 상태의 단백질이 놀랍게도 생물만이 가지는 유전현상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병을 일으키기까지 한다.파푸아 뉴기니아에 살고 있는 '포레'족은 전혀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상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 질병은 성인남자들에게서만 관찰되는 병으로 갑자기 무기력해지고 정신적으 ... ...
컴퓨터선생님 노릇 고달프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학교컴퓨터교육이 본격 실시된지 1년이 지났지만 빈약한 예산, 담당교사 부족, 학습프로그램부족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흡사 노도와 같다는 표현이 적당할 것이다.불과 몇해 사이에 컴퓨터는 우리 주위에 너무 가까이 접근해 왔고 컴퓨터의 실체를 명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은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기초과학의 상징물로만 여겨졌던 가속기가 이제는 첨단산업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초전도 거대 가속기(SSC) 프로젝트의 참여가 확정되고 포항방사광 가속기(PLS)가 건설되면 우리나라도 바야흐로 '가속기 시대'가 펼쳐진다.우리나라도 가속기시대가 열린다. 포항공대에 방사광가속기(PLS, Pohang Light ... ...
다이어트하다가 어지러워지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인스턴트 식품을 즐기거나 청량음료를 물마시듯 마시면 철분결핍성 빈혈을 일으키기 쉽다.빈혈이란 누구나 알고 있듯이 피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확실히 빈혈은 잘 알려진 증세지만 빈혈을 거론할때 먼저 확실히 해두어야 할 몇가지 사실이 있다. 우선 빈혈 그 자체가 독립된 병명이 아니라는 점이 ... ...
한글을 잘쓰는 요령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한글에 포함된 기능들을 잘 활용하면 워드프로세서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다.지난 4회동안 한글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왔다. 꼭 필요한 것들은 대부분 다루었으므로 마지막 회에서는 한글을 조금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들도 역시 ... ...
「두뇌 기능 지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양전자 발광 단층 촬영장치 등을 활용해 두뇌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사람뇌의 세세한 움직임을 영상으로 담는 일이 가능할까, 말을 하고 색을 인식하고 팔을 움직일 때 뇌의 어느 부분이 어떻게 활동하는가를 리얼타임(realtime )으로 잡아 낼 수 있다면 '과학 최후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한의학이 세계의학으로 발돋움하려면 여러 자연과학분야와의 교류가 필요하다. 일엽지추(一葉知秋)라는 말이 있다. 떨어지는 나뭇잎 한 잎으로 가을이 온 것을 안다는 뜻으로 자연의 변화는 이렇게 낙엽 하나의 움직임으로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연과 함께 살고 있는 인간의 감정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나보다 더 못생긴 동물 있으면 나와 보라」고 큰 소리치는 「물에서 사는 말」 올여름과 같이 작열하는 날씨앞에서는 장사가 따로 없다. 동물원의 동물들도 하나같이 더위에 지쳐 축 늘어진다.사람도 몸집이 큰 사람이 더위를 더 많이 타듯이 동물들도 코끼리나 하마(河馬)와 같이 덩치가 큰 녀 ... ...
도도새 같은 죽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오래전 멸종된 도도새의 새로운 모형이 에딘버러에 있는 스코틀랜드 왕립 박물관의 키치너씨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새로운 모형의 도도새는 흔히 생각해 왔던 것보다 훨씬 멋있어서 그 새가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슬픔만 더해주고 있다.도도새와 인류와의 관계에 관한 역사는 지난 1510년도에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