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20년까지 100t 규모로 확대해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연구팀이 생각하는 다음 목표는 광합성 속도다. 미세조류가 식물보다는 월등히 빠르지만 상용화에 이르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심 교수는 “더 나은 미세조류를 계속 탐색하고, 동시에 무기물과 결합시키거나 유전공학을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냥 썩히지 않고 그 안에 담긴 수수께끼를 그대로 풀어내어 짤막한 힌트와 함께 다음 사람에게 고스란히 넘겨주신 분.‘나는 이제 자유야. 방학숙제를 다 끝냈으니까.’ 그러나 사실 은경은 그날 밤에도 역시 편하게 잠이 들 수가 없었다. 책더미를 품에 안고 용감하게 체중계에 오른 순간, 그만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따라 대상을 분명하게 정할 수 있는 모임을 뜻한다.] 북한 중등학교★의 수학 수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되살리기, 숙제검열, 새지식주기, 다지기는 우리나라의 수업과 비슷하다. 당정책화는 우리나라에 없는 수업 내용으로 전체 45분의 수업시간 중 5분 정도를 차지한다. 수업의 소재나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졌어요. 한 친구가 프로그래머가 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질문하자, 박 디렉터는 다음과 같이 말했어요.수학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동굴에 들어간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때 캐릭터가 정말 동굴에 들어간 것처럼 보이려면 빛이 가장 중요해요. 빛이 어떻게 들어와서 어떻게 반사할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다. 이 바벨탑의 후손들은 바빌론과 브뤼헐의 그것보다 훨씬 더 정교하고 튼튼하다. 다음 파트에서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시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건축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오전은 11시, 오후는 3~5시에 가장 많다. 이렇게 특정 목적을 위주로 통행을 파악하면 그 다음 행선지나 사회적 변화로 일어날 활동 변화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부들의 쇼핑과 자녀를 마중 ․ 배웅하는 활동을 분석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했을 때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색깔을 인지하고 이름을 붙이기에 앞서 깜깜한 밤과 환한 낮을 구별했다는 뜻이다. 그 다음으로 나타나는 단어는 피의 색깔인 빨강과 자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노랑과 초록이었다. 고대 문헌에는 파랑이 없다놀랍게도 고대 문헌에는 파랑이라는 단어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영국 철학자인 윌리엄 ...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하려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이용해 명령을 내려야 한다. 컴퓨터 언어를 익힌 다음에는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순서를 정해야 한다. 컴퓨터는 순차적으로 일을 처리하기 때문에 중간과정이 꼬이거나, 엉뚱한 명령을 내려버리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최근 많은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졸업예정)일단 학비 부담이 많이 줄었다. 파운드 환율이 200~300원 정도 낮아지니까, 당장 다음 학기에 낼 학비가 500만~600만 원 정도 줄었다. 영국이 워낙 물가가 비싸고 생활비도 만만치 않은 나라라 유학생들 사이에서는 의외로 브렉시트를 반기는 분위기도 있다.여준석(금융공학, 2015년 졸업생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r)를 곱하고도 그 값(rb)이 여전히 행위자가 감수하는 손실(c)보다 크다면, 이 유전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더 많이 남길 수 있다. 이것이 해밀턴의 규칙이다. 이타적 행동은 상대방이 얻는 이득에 근연도를 곱해서 삭감한 값이 행위자가 입는 손실보다 클 때만 선택된다. 즉, 상대방을 도와줘서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