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위치가 달라지는 것이다. 중성자들이 야구팀을 만들어 전자를 야구공삼아 경기를 할 때,
높이
뜬 공(전자)을 바라보면(빛을 비추면) 이 공은 홈런이 될 수도 있다.양자의 중첩상태에 대해 측정을 하는 것도 이와 비슷하다. a0+ b1에 대해 측정을 하면 측정 후의 상태는 0이나 1이 된다. 측정을 한다는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저장돼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지하 LNG 저장탱크의 규모가 상상을 초월한다. 지름 73m,
높이
53m의 크기로 용적이 20만kL나 된다. 물이라면 수영장 2백곳을 채울 수 있는 엄청난 양이다. 게다가 천연가스를 액체상태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탱크내부의 온도는 영하 1백62℃를 유지해야 한다.곽교수팀은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러나 이들은 모두 대기압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저진공 상태다.지상으로부터 8천8백48m
높이
인 에베레스트산 정상에서는 압력이 대기압의 40%로 낮아진 저진공 상태다. 이에 비해 우리별 1호가 있는 1천3백km 상공은 압력이 ${10}^{-8}$Pa인 초고진공상태다. 정지위성 궤도인 3만6천km 상공에서는 압력 ${1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침식되는 양보다 많기 때문에 갯벌이 형성된다.한편 서해안은 밀물과 썰물 때 바닷물
높이
의 차이(조차)가 4-9m 정도로 크고, 경사도 완만하다. 또한 구불구불한 해안선을 갖고 있으며, 육지로 움푹 들어간 만도 여럿 존재한다. 이 같은 자연환경은 밀물과 썰물이 반복되면서 바닷물이 해안가에 물질을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까닭이다. 최근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홈 시어터는 스피커를 여러개 사용해 현장감을
높이
는데, 그만큼 인간이 소리에 민감하기 때문이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다양한 소리로 가득 차있다. 자연이 들려주는 소리를 인간의 언어로는 표현하는 것은 사실 무모한 일이다. 예를 들어 바람에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 결과 산꼭대기에서는 수은주가 낮아지고 평지에서는 높아진다는 점을 발견했다.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하므로 그릇에 담긴 수은을 누르는 대기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산꼭대기에서는 유리관 안의 수은이 평지에서보다 덜 밀려 올라갔던 것이다.1654년경 독일 마그데브르그시의 시장이었던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구의 아래쪽에 색깔과 외형이 다른 또하나의 사구가 있다. 이 사구는 현재와 해수면
높이
가 달랐던 과거에 형성된 사구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곳의 퇴적물을 분석하면 사구가 형성된 시기와 당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사구에는 현재와 과거와 미래에 대한 자료가 모두 담겨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수 없는 형편이었어요. 그 학생들을 키우다보니 20년 동안 내가 공부를 했죠. 제자들의 눈
높이
에 맞추다보니 낮은 수준에서 시작해 계속 수준을 올려온 것입니다.”박 교수는 그의 밑으로 들어온 제자들을 한명도 실패시킨 경우가 없다. 자신이 20대에 연구경력 1년을 못채워서 허비한 시간 때문에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M7별들이 모여있는 무리인 산개성단은 은하수를 따라 분포하고 있어 은하수가 하늘
높이
걸리는 여름밤에 특히 훌륭한 관측대상이다. 산개성단의 경우 성운이나 은하와 달리 망원경으로 보면 하나하나의 별들로 구별되기 때문에 뿌옇거나 흐릿하지 않고 원래의 모습이 그대로 선명하게 드러난다. 또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것이죠. 그 다음부터는 일사천리로 진행됐습니다. 그림에 나오는 지형들의 거리와
높이
등과 보름달이 뜬 시점을 계산한 결과 그 해 5월 16일과 7월 13일에 절벽의 그 위치에서 달이 떠오른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과연 둘 중 어느 날이었을까요.문제는 의외로 쉽게 풀렸습니다. 그림 앞부분에 수확한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