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는 것이지요. 지금까지 찾은 근사 알고리듬 중에 가장 답에 근접한 해를 구해 주는 건 니코스 크리스토피데스가 1976년에 개발한 ‘크리스토피데스 알고리듬’이에요. 2011년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캐나다 맥길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이 알고리듬을 이용해 어떤 두 도시 사이를 왕복하는 비용이 ... ...
- part 1. 오일러 앞선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일일이 바꿔가며 마방진을 찾을 것 같은데요. n이 커지면 이런 방법으로 마방진을 찾는 건 어렵다고 합니다. n이 9만 돼도 총 81!(=81×80×…×2×1)개 배열을 따져야 하는데, 슈퍼컴퓨터도 벅찰 정도로 계산량이 많거든요.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겠죠? 마방진을 찾는 방법 중 하나는 마방진보다 간단한 ... ...
- part 4. 도전! 마방진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마방진하면 단순히 숫자 퍼즐인 줄만 알았는데, 여전히 흥미로운 수학 연구 대상이라는 점이 참 놀랍네요. 저도 도전해볼 만한 마방진 문제 ... 알아낼 거라는 사실을요. 오늘 여러분도 최석정처럼 마방진을 만들어 연구해 보는 건 어떨까요? 수학사저널 그날, 이것으로 방송을 마치겠습니다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좋겠죠? 방어율은 피해량을 줄이고 방어율 무시는 이 방어율을 줄이는 능력이라는 건 맞습니다. 그런데 정확히 얼마나 줄이는 지 알려면 수학이 필요합니다. 특히 방어율 무시를 높이려면 두 수를 수평선 위에 점으로 나타냈을 때 두 점을 잇는 선분을 특정 비율로 나누는 ‘내분점’을 알아야 ... ...
-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나왔다는 뉴스를 보고 불면증이 생기고 말았어. 혹시 내 침대에서도 라돈이 나오는 건 아닐까? 불안해서 잠을 못 자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위험해!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Part 3. 다른 음이온 ... ...
- 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침대에서 나왔다는 방사성 물질 ‘라돈’이 뭐지? 대체 왜 이런 물질이 침대에서 나온 건지 도통 모르겠네. 자세히 좀 알아봐야겠어! 침대, 방사선 내뿜었다지난 5월 3일, 대진침대의 한 제품에서 방사성 물질 ‘라돈’이 나온다는 뉴스가 보도된 뒤로 많은 사람이 불안에 떨고 있어요. 라돈이 담배 ... ...
- [과학뉴스] 중국, 1억 도 ‘인공 태양’ 성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를 지구에서 구현하는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그러나 ‘인공 태양’을 구현하는 건 쉽지 않다. 지구는 태양보다 중력이 약해, 태양 내부 온도보다 10배가량 높은 1억 도의 플라스마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과학원은 1억 도의 플라스마를 몇 초간 유지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안정적인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새가 날갯짓을 하면 공기의 흐름이 순간적으로 크게 바뀌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건 당연하다. 더군다나 올빼미는 결코 작은 새가 아니기 때문에 소음이 더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실제 올빼미의 비행 현장을 녹음하면 소음이 거의 나지 않는다. 과학자들은 올빼미의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카메라, 조명, 레이저까지 지름 3mm 내시경에 설치 놀라운 건 이 모든 기능을 단 3mm에 집약했다는 점이다. 앞서 이야기했듯 경막외강은 매우 좁은데다가 체액으로 채워져 있어, 내시경이 가늘수록 좋다. 닥터 허준의 카테터는 지름 3mm 안에 카메라와 광섬유 조명뿐만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암세포마다 특성 달라 암세포를 없애는 건 간단한 일이 아니다. 가장 큰 이유는 같은 곳에 있는 암 덩어리라도 그 안의 암세포들이 유전자와 특성에서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이질성(heterogeneity)’이라고 부른다. 이로 인해 항암제를 투여해도 어떤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