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93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우울증 검사하는 손목시계형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앞으로 크기를 더 줄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게 발전시키기로 했다. 연구책임자인
김
승환 ETRI 바이오의료IT연구본부장은 “정신질환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생체신호 기반의 진단·예측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 ...
”깜깜이 대학원 진학은 낭비, 학생·교수 참여 통해 공정성 높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도움을 줘 대학원이라는 길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대학원 입학 전부터 졸업 후까지
김
박사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들을 얻어갈 수 있도록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팔루썸니 제공 ... ...
‘파행운영’ 논란 청년 TLO 사업, 올해 안착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경우도 583건이었다. 4000명 정원의 전국 단위 활동의 성과로는 미약한 게 사실이다.
김
사무관은 “내부적으로 500건의 기술이전을 목표로 삼았는데 아직은 미달한 상황”이라며 “올해는 참여자 개개인을 독려하고 대학이 권역별로 공동으로 기술 소개를 하게 해 기업과의 접촉 기회를 늘리고, 202 ... ...
보행자 건너면 바닥 조명 깜빡거리며 차량 경보하는 횡단보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사용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에서는 진동과 경보메시지가 울리는 식이다.
김
연구원은 “보행자 사고다발 지역인 비신호 교차로와 지방부도로에 설치하면 교통사고 예방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기술을 고도화해 실용화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
진주서 발견된 세계 최대급 ‘공룡 발자국 화석지’ 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번 와야 하는 이유입니다. 물론 화석이 사라지면 기회도 같이 사라져 버리겠지만요.”
김
경수 진주교대 교수팀의 배슬미 연구원이 경남 진주시 정촌면 뿌리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공룡 발자국 화석 발굴지에서 발자국 화석의 위치를 지도에 기록하고 있다. 진주=윤신영 ... ...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주목적은 비를 내릴 수 있는 구름이 있을 때 강우량을 늘리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주류 과학계에서는 오랜 기간에 걸쳐 가뭄 해소를 위해 인공강우 연구를 해왔지만 그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결론을 내렸다”며 “마치 인공강우가 미세먼지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은 ... ...
"미세먼지는 모두 중국탓은 틀린 말"…국내외 배출원 더 정교하게 분석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약 50%가 중국발로 분석됐지만 기간에 따라 낮고 높음의 차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미세먼지 배출원은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항상 바뀐다”며 “미세먼지 예측과 기여도 분석을 위해 국내외 배출량을 포함한 모든 배출원의 배출량을 포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정확도를 높이고 'xCas9'과 'SpCas9-NG'란 효소로 그 범용성을 높이기도 했다. 네이처는
김
단장을 포함한 과학자 7명이 선정한 ‘2019년 주목해야할 기술’을 공개했다. 초고해상도를 가진 현미경이 나노미터 단위까지 염색질을 관찰했다. 1 나노미터 단위까지 세포를관찰하는 일이 흔해질 것으로 ... ...
연세대-한화시스템, 초소형위성개발 협력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SAR) 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전자광학(EO) 및 적외선 위성 탑재체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김
총장은 “이제 실생활에서도 초소형 위성을 활용하는 시대가 도래했다”며 “초소형 위성이 중요해지기 전 항공 전략 연구원에 초소형 위성 센터를 최초로 설립한 연세대는 관련 연구 개발을 선도해 나갈 ... ...
경제과학특보에 축적의 시간 저자 이정동 교수 내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시간을 읽고 감명을 받았고 지난해 발간된 축적의 길도 정독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대변인은 “이정동 교수는 한국생산성학회 회장, 한국기업경영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국내외에서 손꼽히는 기술경제 및 혁신정책 분야 전문가”라며 “산업과 과학기술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성과 식견을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