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힘"(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1학기에 전공을 결정합니다. 구조공학과 수공학에서는 물리를 많이 씁니다. 물질의 특성, 힘의 균형, 유체역학 등을 다루기 때문이죠. 환경공학은 화학과 생명과학을 공부해야합니다. 수처리를 할 때 일어나는 화학반응, 도시 속 생태계에 대해 잘 이해해야 하죠.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가 있는데, 그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학회에 참석했다가 ‘음의 푸아송 비’라는 개념을 처음 접했다. 푸아송 비란 재료에 힘이 작용해 변형될 때 가로와 세로 변형도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로 변형도)/(세로 변형도)’로 정의한다. 가령 네모난 찰흙을 위아래로 누르면 세로는 줄어들고 가로는 늘어나기 때문에 푸아송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계다.축구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이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과학의 힘으로 그 하이라이트를 더 욱 생생하고 진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올라! 브라질 월드컵 사이언스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 ...
- 가재 앞다리 파워 본뜬 우주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는데, 이걸 휘두를 때 나오는 가속도는 총알에 맞먹어 자신의 몸무게보다 1000배나 강한 힘을 낼 수 있다. 연구진이 이전 연구에서 이 ‘몽둥이’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광물화된 섬유 층이 조금씩 각도를 달리하며 나선형 계단처럼 쌓여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진은 이를 모사해 각 층을 10~2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수도학부 때는 식품에 대한 것을 다양하게 배우기 때문에 사실 한 분야를 제대로 알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어. 물론 학부만 졸업하고 취직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지식의 전문성을 위해 상당수의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해 한 분야를 더 깊게 공부하고 있지.Q&A 식단 짜는 법을 배우나요?그렇지 ... ...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붕 떠요. 트램펄린 하나에 100개가 넘는 용수철이 연결돼 있다니 몸이 공중으로 뜨는 힘도 엄청나겠죠? 트램펄린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했어요.리어카말은 손수레를 개조해 작은 말을 여러 개 달아서 만든 놀이기구예요. 리어카말 역시 말과 수레가 용수철로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만든다일부 국가에서는 말레피센트처럼 인공번개를 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에 힘쓰고 있다. 바로 번개를 일으키는 레이저 광선을 발사해 표적을 파괴하는 장치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 장치를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채널’이라고 하는데, 레이저 광선을 공기 중에 쏘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니까 바람을 따라 편하게 멀리 날아가지. 그러면 열매가 터지는 힘으로 나가는 씨앗보다 더 멀리 갈 수 있어. 나처럼 바람을 타고 이동하는 씨앗들은 대부분 작고 가벼워. 프로펠러 같은 날개나 털을 갖고 있다는 게 특징이란다. 민들레, 억새, 무궁화 씨는 털로, 단풍나무 씨는 7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분리점을 뒤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역류가 적은 B의 경우, 뒤에서 공을 잡아당기는 힘(항력)이 작아 공을 더 빠르고 멀리 날려보낼 수 있다.INSIDE | 공 때문에 졌다? 기자는 고등학교 때 기숙사 방별로 한 팀이 되어 맞붙는 축구 리그에 참여하곤 했다(한 방에 12명씩 16개 방이 있었다). 같은 방 ...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바닷물에 쓸려나가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안류는 물살이 매우 빠르기로 유명한데요, 그 힘을 파력발전에 이용해보고 싶었습니다.”경기고 2학년 이찬 군은 ‘이안류를 이용한 파력발전 시스템’을 고안해 특별상을 수상했다. 이안류란 거꾸로 가는 파도, 즉 해안에서 바다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를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