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술로 다시 태어난 과학재능 기부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얻은 약 90개의 영상을 영상편집 프로그램으로 윤곽만 추출한 뒤, 마치 애니메이션처럼 1
초
에 15프레임씩 돌렸다.전시장에서는 이 영상을 트위터의 실시간 메시지와 연동시켜 빔프로젝트로 스크린에 쏜다. 참여자가 문장을 쓸 때마다 해당 사람의 실루엣이 뜨는 식이다. 이들이 군중이 돼 스크린을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노년’현대 사회에 노년이 증가한 것은 의학의 발달로 죽지 않게 돼서입니다. 20세기
초
만 해도 출산률과 함께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평균수명도 짧았습니다. 특히 유아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임신을 해도 섣불리 축하를 하지 않고, 태어나도 100일이 지나서야 잔치를 ... ...
Bridge. 비살상무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무력한 상태에 빠진다. 사정거리는 600m. 상대방을 무력화시키거나 도망치게 만드는 데는 2
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미국은 이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12년 동안 100명 이상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1만 발 이상의 인체실험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ADS는 이미 개발이 완료되고 시험 평가 중이다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뒤는 없다, 216
초
와 137
초
의 아픔을 잊어라.’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가 모든 채비를 마쳤다. 10월 26일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에서 세 번 ... 다시 한번 지켜볼 카운트다운은 이미 시작됐다. 나로호는 과연 한국형 발사체 기술의
초
석을 다질 수 있을까 ... ...
응답하라! 수포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매고 시작하세요. 중요한 것은 기
초
와 복습입니다. 선행학습에 주력하지 마세요. 기
초
에는 전체 시간의 60~70%를 할애해도 아깝지 않습니다. 흔히 수학이라고 하면 문제풀이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수학은 정의의 학문입니다. 무작정 문제를 풀기 전에 정의를 이용해 그 원리를 파악하는 것이 ...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한명씩 죽는다!” 인질범이 경찰에게 외치는 말이 아닙니다. 2005년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5
초
에 1명씩 굶주린 아이들이 죽어갑니다. 지속적으로 유엔에서는 이들을 위해 식량을 지원하는 것 외에도 농업을 지원했습니다. 당장 식량을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그 곳에서 직접 ... ...
[10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기.사.’를 쓰는 공간이다. 과학 기사는 행사보다는 행사 중에 열린 과학적인 사실에 더
초
점을 맞춰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pickup 기사 제목은 사실 적절치 않다. 하나씩 따져보자. choice 기사로 선정된 ‘GMO, 무조건 나쁜 것이다?’는 제목에 걸맞게 GMO가 무조건 나쁘다고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쓰고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시작하는 느낌이다.연구는 춘추전국시대에 접어들었다. 윔프는 과거의 영광을 유지하고
초
대칭 이론이라는 금자탑을 완성해 줄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강호 비활성 중성미자에게 무릎을 꿇을 것인가. 액시온이 긴 기다림 끝에 왕좌를 차지할 것인가. 싸움은 다시 시작이다.[올해 7월 미국 미시건대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종이에 번지는 반점의 크기를 예측한 수식도 유도했는데 앞의 조건과 같을 경우 펜촉을 2
초
간 대고 있을 경우 잉크반점의 반지름이 3.0mm로 나왔다. 실제 측정값은 1.3mm로 꽤 차이가 난다. 연구자들은 종이가 잉크를 머금으면서 부풀어 올라 모세관힘이 약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5000년 전 ... ...
수학·과학 영재와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놓고 보면 유리할 것이 별로 없다. 정부에서 영재고나 과학고를 설립·운영하는 목적이 기
초
과학 영재의 육성이기 때문에 학교 입장에서도 의대 진학을 적극적으로 밀어주기가 힘들다. 특히 의대 쪽으로 우수학생이 편중되고 있는 현실을 정부와 학계에서는 매우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서울대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