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어떨까요? 과학자들은 도구를 만드는 능력이 인간의 특징이라고 생각하고, 석기를 처음으로 만든 200만 년 전의 고인류에게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손재주가 있는 사람’이라는 뜻의 이름이죠. 그런데 지난 2015년, 호모 하빌리스가 만든 석기보다 더 오래된 석기가 ... ...
- 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한반도에는 언제부터 고인류가 살았을까요? Q 한반도에 처음 산 고인류는 누구인가요? 아쉽게도, 한반도에서는 고인류의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요. 토양이 산성이라 고인류의 뼈가 쉽게 부식되어 버리기 때문이죠. 한반도의 가장 오래된 선사시대 유적은 북한 평양 ... ...
- [핫이슈] AR을 찍자 눈앞에 한자가 나타났다! 마법천자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스타트업 AR쇼는 뉴욕에 증강현실 전용 극장인 ‘게셔’에서 AR 연극 ‘걸리버’를 처음 선보였지요. 관객들이 착용한 AR 헤드셋 속에선 배우의 연기에 가상의 이미지가 더해져 환상적인 무대가 펼쳐졌답니다. 또 SK텔레콤은 스포츠 분야에 AR 기술을 적용해 야구 경기장에서 실시간으로 선수 정보를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침이 꼴깍 넘어갑니다. 고구마는 원래 한국 자생식물이 아닙니다. 8000년 전 중남미에서 처음 재배됐고, 한국에는 영조 39년(1763년)에 일본을 거쳐 들어와 전국으로 퍼졌죠. 당시 조선은 흉년이었습니다. 조선 통신사를 이끌고 대마도에 갔던 조엄 선생이 고구마를 발견하고 눈이 번쩍 뜨여서 종자와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웃으며 나를 반겼다. 10년 전 무뚝뚝하고 엄격했던 이미지와는 많이 달라져 있었다. 처음 만났을 때 그는 장난기는 ‘1도 없는’ 모범생 군인 같았다. 그런 그의 성격을 자명하게 보여주는, 지금도 기억나는 순간이 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나흘 간 우주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하기 전 짐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불과했습니다. 사실상 태양전지를 구동하기 힘든 수준이었죠. 하지만 히거 교수는 1985년 처음 발견된 탄소 동소체의 일종인 풀러렌을 고분자와 함께 혼합막으로 사용하면 광전도가 뛰어나다는 점에 착안해 전기 생산효율이 3%에 이르는 태양전지를 제작했고,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세계적으로 ... ...
- [수학뉴스] 2월의 수학자 - 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늘려줬다”고 말할 정도였죠. 로그뿐만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소수점’을 처음 고안한 것도 바로 네이피어입니다. 예전에는 소수점 대신 각 숫자 옆에 자릿수를 나타내는 수를 함께 적어야 했는데, 일의 자릿수 오른쪽에 점을 찍어 이를 기준으로 자릿수를 구분하게 만들었죠. 자연로그나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밑변이 πr, 높이가 r인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넓이를 구한 거지요. 그러면 적분 개념이 처음 등장한 건 언제일까요? 17세기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아르키메데스의 아이디어를 이용해 포도주 통의 부피를 넓은 원기둥으로 쪼개서 계산했는데, 이것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적분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야기를 만들어보세요. Q 초보자를 위해 조언 한 마디 부탁드려요. 마인크래프트는 처음이 가장 재밌어요. 모르는 걸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를 맛보다가 나중에 콘텐츠를 만들고 다른 사람이 만든 맵도 즐겨보세요! 마인크래프트는 멋진 그림을 주는 대신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은 종이와 펜을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크게 할 수 있는 모양이 타원이란 걸 알아낸 조상님들이 대단하죠? 그럼 타원이 어디에서 처음 등장했는지, 타원이란 정확히 어떤 도형인지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합시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폴로니우스의 저서 ‘원뿔 곡선론’을 보면 그리스어로 ‘부족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ellipse(타원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