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d라이브러리
"
지도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늘어진 가지에 담긴 애달픈 사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쉽게 흔들리는 버들가지처럼 내 마음 나도 모른다는 은근한 투정이 들어있는
지도
모른다.불교에서 말하는 관세음보살은 중생이 괴로울 때 그 이름을 외며 구원을 구하면 곧 사랑과 자비로써 사람의 고뇌를 없애고 구원해준다고 한다. 그래서 탱화에는 관음도가 널리 그려진다. 14세기 초의 ... ...
4 동물실험 대체할 독성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후보물질이 마련되면 생체 내에서 약으로서 적당한지 검사를 거친다.전통적으로 동물을 대상으로 각종 검증작업이 이뤄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DNA칩과 컴퓨터를 이용해 생체 내의 신 ... 성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면, 언젠가는 실험동물 없이도 약물의 효능을 평가할 날이올
지도
모른다 ... ...
3가지 빛깔의 과학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천차만별에도 불구하고 이들 책에서 한결같이 느껴지는 것은 과학자들의 고통과 좌절까
지도
보듬어 안고, 그들의 삶을 정직하게 증언하고자 했던 글쓴이들의 따뜻한 마음이다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때문이다.또 네 시각에 토성이 달과 만나는 위치를 기록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다. 달
지도
를 준비해 여기에 토성이 들어간 위치와 나온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아슬아슬 진행되는 접식이번 토성식의 경우 우리나라의 남쪽, 위도 36° 부근에서는 토성이 달의 남쪽 부분을 스치고 지나가는 현상을 볼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눈부신 비너스의 누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던 것이다. 계획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중력
지도
를 작성하기 위해 금성에 근접한 후 대기와의 마찰로 궤도를 바꾸는 ‘에어로브레이킹’기술을 최초로 시도했다. 성공적으로 모든 임무를 마친 마젤란은 1994년 10월 12일 마치 지구를 일주하고 죽은 탐험가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동 때문에 앞으로 홍수와 가뭄은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지도
모른다.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이 더욱 빛을 발하는 이유다.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우리나라도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의 기상청에는 초당 1천2백80억번의 ... ...
치열해진 승부 무너진 스포츠맨십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랬겠지만, 그만큼 미세한 차이로 이기고 지는 것에 대해 크게 관여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1백분의 1초, 심지어 1천분의 1초를 두고 경쟁해야 하는 지금과는 천양지차다.현대의 스포츠를 돌아보면 점점 더 규칙과 규정이 복잡해지고 그만큼 말도 많아지고 있다. 속임수를 써서라도 이기려는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않도록 철저히 훈련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탐지견 훈련의 기본은 개와 핸들러(탐지견
지도
수) 사이의 철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진다. 이를 위해서 훈련은 무엇보다 철저하게 보상 위주로 이뤄진다.벌 대신 상을 주는 교육은 모든 개를 훈련시킬 때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사실이다. 개를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다룬 ‘하늘의 과학’, 청동기와 토기에 담긴 과학을 다룬 ‘흙과 불의 과학’, 지리지와
지도
에 그려진 과학을 다룬 ‘땅의 과학’ 등의 흥미로운 분류를 따라 책을 읽다보면 어느새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 과학사를 모두 탐색할 수 있다. 그밖에도 우리나라의 인쇄기술, 고대 일본과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연구하고 있다는 것을 은근히 자랑한다.1970년대 말 학위를 마치고 미국에서 귀국할 때
지도
교수가 한국에 가면 무엇을 할 것이냐고 물었다. 당시 그는 자신의 유일한 희망은 서울대에 박사과정을 만들어 고급인력을 키우는 것이라고 했다. PSSC 같은 프로그램은 물론 과학교육과 관련된 전문적인 일과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