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d라이브러리
"
지도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의 주역 루시 테일야칸 박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대(RPI) 핵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번에 논문을 같이 발표한 레이 교수가 당시
지도
교수였다. 졸업 후에는 웨스팅하우스사에서 근무하다가 10여년 전 오크 리지 국립연구소로 옮겼다.다음은 인터뷰 내용.사이언스 논문 발표 후 많은 반응이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 핵심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정도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눈동자를 깜박거리기만 해도 거의 비슷한 뇌운동 시신경 영역
지도
를 만들 수 있다. 연구대상자의 피해나 통증이 전혀 없음은 물론이다. 모든 인류 위한 새로운 광선인체 내부를 들여다보고 싶어하는 인류의 욕망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항상 존재했다. 우리나라의 허준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눈부신 비너스의 누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던 것이다. 계획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중력
지도
를 작성하기 위해 금성에 근접한 후 대기와의 마찰로 궤도를 바꾸는 ‘에어로브레이킹’기술을 최초로 시도했다. 성공적으로 모든 임무를 마친 마젤란은 1994년 10월 12일 마치 지구를 일주하고 죽은 탐험가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동 때문에 앞으로 홍수와 가뭄은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지도
모른다.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이 더욱 빛을 발하는 이유다.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우리나라도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의 기상청에는 초당 1천2백80억번의 ... ...
3가지 빛깔의 과학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천차만별에도 불구하고 이들 책에서 한결같이 느껴지는 것은 과학자들의 고통과 좌절까
지도
보듬어 안고, 그들의 삶을 정직하게 증언하고자 했던 글쓴이들의 따뜻한 마음이다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때문이다.또 네 시각에 토성이 달과 만나는 위치를 기록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다. 달
지도
를 준비해 여기에 토성이 들어간 위치와 나온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아슬아슬 진행되는 접식이번 토성식의 경우 우리나라의 남쪽, 위도 36° 부근에서는 토성이 달의 남쪽 부분을 스치고 지나가는 현상을 볼 ... ...
치열해진 승부 무너진 스포츠맨십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랬겠지만, 그만큼 미세한 차이로 이기고 지는 것에 대해 크게 관여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1백분의 1초, 심지어 1천분의 1초를 두고 경쟁해야 하는 지금과는 천양지차다.현대의 스포츠를 돌아보면 점점 더 규칙과 규정이 복잡해지고 그만큼 말도 많아지고 있다. 속임수를 써서라도 이기려는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발사하면 광선이 복원 대상에 맞고 돌아오는 시간을 정밀하게 계산해 수치화하고, 이를
지도
처럼 미세한 3차원 등고선으로 명암과 굴곡을 표현한다. 이런 작업을 거치면 불상의 경우 잘 잡아내지 못하는 눈꼬리, 입술, 콧망울 등 매우 미세한 특징까지 잡아내 원형처럼 생생한 느낌을 살려낼 수 있다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않도록 철저히 훈련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탐지견 훈련의 기본은 개와 핸들러(탐지견
지도
수) 사이의 철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진다. 이를 위해서 훈련은 무엇보다 철저하게 보상 위주로 이뤄진다.벌 대신 상을 주는 교육은 모든 개를 훈련시킬 때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사실이다. 개를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연구하고 있다는 것을 은근히 자랑한다.1970년대 말 학위를 마치고 미국에서 귀국할 때
지도
교수가 한국에 가면 무엇을 할 것이냐고 물었다. 당시 그는 자신의 유일한 희망은 서울대에 박사과정을 만들어 고급인력을 키우는 것이라고 했다. PSSC 같은 프로그램은 물론 과학교육과 관련된 전문적인 일과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