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핵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중추
center
d라이브러리
"
중심
"(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돌리고, 돌리고~ 대칭요소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가운데 질소 원자가 위로 조금 떠 있어 전체는 삼각뿔 모양이다. 암모니아는 질소의
중심
을 지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120° 회전하는 회전 대칭요소를 갖는다. 3회 회전하면 원래 분자 모양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질소 하나와 수소하나를 지나는 대칭면이 3개 있어 반사 대칭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높이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교육부의 반대에 부딪혔고 결국 1980년 콜모고로프 교수를
중심
으로 구성된 조직위원회는 해산됐습니다.대신 콜모고로프 교수와 저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같은 도시 학생을 대상으로 새로운 경시대회를 만들었습니다. 이 대회가 바로 도시대항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다시 이동경로를 찾는 방법이지. 예를 들면 갈 집이 1000곳이라면 어린이가 많은 지역을
중심
으로 20곳씩 50개 지역으로 나누고, 다시 50개 지역을 10개나 5개로 나눠 단계별로 접근하면 경로 찾기가 쉬워져. 최근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인 레너드 아들만이 DNA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 ...
1 보이지 않는 세계를 대칭으로 생각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원자를 구 모양이라고 말했어. 입체 도형 중에가장 완벽한 대칭 도형은 바로 구야.구는
중심
을 통과하는 모든 면이 대칭면이 되기 때문에 대칭면이 무수히 많아.오래전 과학자들이 원소를 대칭 모양으로 생각한 걸 보면, 굽은 모양인 물 분자보다 정사면체로 생긴 내가 분자 나라를 대표하는 건 ... ...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기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여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임승환 기자는 심층 취재를 통해 현장의 의견과 소비자
중심
의 의견을 보도해 의학기사의 신뢰도를높였다.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주는 ‘올해의 기상과학기자상’은 KBS의 이기문 기자가 받았다. 이기문 기자는 19년 동안 과학과 기상 담당으로 근무하면서 과학 및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스스로 호랑이 교수님을 자청했다. 또 많은 여성과학자들이 능력보다는 성별에 의해 남성
중심
과학연구 현장에서 차별받는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과학의 꿈을 키우는 많은 여성과학도들에게 희망을 버리지 말고 긍정적인 자세로 자신의 꿈을 펼치길 지금도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또한 모혜정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대체하는 바이오매스 연료 시대가 올 것이다.김상연 _ 과학동아 편집장과학기술의
중심
에는 인간이 있다. 미래 생활을 뒤바꿀 위대한 기술은 가장 뛰어난 기술이 아니라 가장 인간의 욕망을 잘 읽어낸 기술이다. 인간을 잘 이해하는 과학자가 앞으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추구하는 근본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맥그래스 교수의 주장이다.월터 실장은 “학문의
중심
,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이 근본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루브르에 있는 C2RMF에서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필수적이다. 수학을 우선적으로 공부해서 실력을 키워간다. 과학에서는 생물과 화학을
중심
으로 공부한다. 3. 지역의 생태연구소를 통해 꾸준히 수행할 수 있는 탐구활동과 봉사활동을 마련한다. 사례 2 “외고생도 KAIST에 갈 수 있나요?” K시 K고 1학년 L학생 “KAIST에 가고 싶은데 외고를 다니고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강한 인력 때문에 바깥쪽 물질은 더 빠르게 회전하면서 점차 납작한 원반을 이룬다. 성운
중심
부에서는 급격한 밀도 증가에 따른 빠른 중력수축(중력붕괴)으로 빛을 내는 원시태양이 탄생된다. 이러한 원시성운의 수축단계는 약 1천만년간 지속된다. (2) 미행성 형성 원시성운의 계속적인 수축으로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