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레너드 아들만이 DNA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어.해밀턴 경로문제영국의
이론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윌리엄 해밀턴은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해 변을 따라 남아 있는 19개의 꼭짓점을 차례로 단 한번만 통과해서 처음 출발한 꼭짓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찾는 게임을 제안했다.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느끼지 못했을 것이고 우주의 나이를 짐작조차 하지 못했을 것이다. 또 우주 팽창
이론
을 성립하지 못하고 암흑물질의 존재도 확인하지 못했을 것이다. 사람들이 허블망원경을 인류가 만든 가장 위대한 우주망원경으로 꼽는 것에 대해 나도 동감하고 있다. 사고 뒤에는 항상 내가 있다1986년과 200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시대에 살고 있다. 컴퓨터는 우리 생활과 연구 환경 구석구석으로 침투했고, 혼돈
이론
에서 발전된 복잡성 과학은 우리 일상에 숨겨진 관계의 놀라움을 규명해내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의 가치가 주목을 받기까지는,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해온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고 격렬히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억한다. 전공과목으로 플라스마 관련 과목을 수강했다. 그러나 멀게만 느껴지는
이론
과 지난한 수식들로 인해 큰 흥미를 못 느꼈다.그러던 어느 날 전공 실험과목 수강 중에 저온 플라스마 발생실험을 했다. 그때 아름답고 마법 같은 아우라를 간직한 플라스마와 조우한 뒤로 필자의 인생은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원하나요?물리학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또한 플라스마의 거동은 전적으로 전자기학
이론
을 따르기 때문에 수식의 전개와 해석에 능숙한 학생이 유리하다.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은 많은 분야에 쓰이므로 다양한 사람과 접촉하고 팀을 이뤄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른 사람과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멘토였던 켈로웨이 박사는 개발도상국의 산업육성을 위해 유망한 분야인 에너지 띠
이론
을 전공할 것을 권유했다. 모혜정 교수 역시 앞으로 신기술 개발만이 아시아의 조그마한 나라, 한국의 살 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돌아와서 최초로 국내에 소개한 모혜정 교수의 업적은 후대에 한국의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많은 역설이 추가로 생겨났습니다. 이와 같은 집합론의 역설이 존재한다는 것은 분명히
이론
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 줍니다. 하지만 이것을 해결하려는 수많은 시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유한과 무한 사람의 혈액 1mm3에는 약 500만 개의 적혈구가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몸 전체에 들어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남아있는 이유는 인문학적으로 연구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의학은 과학적인
이론
으로 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를 보고 자의적으로만 해석할 뿐 예후를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 의사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의사들은 이에 대해 국가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통섭’이 연구소 안에서 실현되고 있다는 게 월터 실장의 설명이다. 그는 “새로운
이론
이나 아이디어는 다른 학문에 대한 호기심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결국 과거에 관심을 갖는 것, 인문학의 중요성을 깨닫는 것, 자기가 서 있는 분야에서 과거 선배들의 기반을 찾는 것을 모두 하나로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주여행이 많아질수록 우주엘리베이터에 들어가는 비용을 정당화할 수 있다. “
이론
적으론 7년 안에도 가능”당장 우주엘리베이터가 현실화되긴 어렵다. 소재, 건설기술, 우주과학 등이 모두 고루 발전해야 한다. 다만 과학자들은 몇 년 사이에 우주엘리베이터를 현실화할 기술의 토대는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