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람
여정
관광
항해
객려
여행길
편력
d라이브러리
"
여행
"(으)로 총 2,56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유를 응고시키면 치즈가 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떠날 때 음료로서 염소의 젖을 양의 위(胃)를 건조시켜 만든 물주머니에 채웠다. 하루의
여행
을 마치고 밤에 물주머니를 열어보니 물과 같은 액만 나왔고 젖은 흰덩어리로 변화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이 후에 치즈로 발전된 것이다. 이것은 양의 위에 소화효소인 레닐라제가 남아서 젖을 ... ...
우주왕복선 실물모형 국내 전시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앰배서더를 구경하고 갔다고 한다. 이를 제작한 측은 "앰배서더는 일반 대중들이 우주
여행
의 역사에 대해 배울뿐만 아니라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고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용 도구다"라고 밝혔다.대전 엑스포 이후 앰배서더는 전세계를 돌며 전시될 예정이다. 앰배서더란 이름은 '친선'과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것을 믿는다. 이들 대다수는 중성미자처럼 아무런 상호작용 없이 우주의 이곳저곳을
여행
하는 입자들이다.그러므로 이들 입자가 우리의 몸을 통과한다고 해도 우리는 전혀 느끼지 못한다. 이러한 입자들의 실험적 관측이 힘든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누가 어떠한 실험장치를 개발한다해도 이들은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보이는 무수히 많은 크고 작은 크레이터가 어떤 크레이터인지를 구별하기 어렵다.
여행
을 하는데는 지도가 필요하듯이 월면의 관측에도 '월면도'라는 달지도가 꼭 필요하다.달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천체로 예로부터 천체관측의 주대상이었던 만큼 월면의 지형을 표시한 월면도의 종류도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생물체는 일정한 수명을 갖고 있다. 그러나 자손을 낳음으로써 생물체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후손에 전달하여 자신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 ... 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은 꽃가루 길이의 수만배까지 꽃가루관을 뻗어내려 짝을 찾는 긴
여행
이라 할 수 있다 ... ...
지구과학 -B.C.2천년전 고대 이집트서 처음구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목요일 정오인가?24시간
여행
했으니 목요일 정오가 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면 영심이가
여행
할 때 날짜가 변경된 것은 어디서 일까.19세기 이후 국제적 협약에 의하여 약속된 시간대(time zone)와 날짜변경선을 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날짜변경선은 대체로 경도 1백80°선을 따르고 있다.즉 날짜 변경선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마지막 장면은 은하로의 상상
여행
. 우리 은하 속의 별 하나 하나는 인간이 만들어낸 창조물로 변하고, 이것이 다시 인간의 뇌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이른바 '브레인 갤럭시'가 탄생하는 순간이다. 메인쇼는 캐나다 아이맥스사의 자회사인 ... ...
2020 초고속항공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이러한 장시간의 무착륙비행은 노약자는 물론 일반 사람들에게도 매우 피곤하고 지루한
여행
이 아닐 수 없다. 만일 이 거리를 2, 3시간내에 날아갈 수 있다면 노약자는 물론 바쁜 사업가들에게도 매우 반가운 소식이 될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음속의 5, 6배로 나는 극초음속 항공기의 개발이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모두 충족되는 날이 1년중 그리 많지 않으므로 주변의 불빛 방해가 없는 곳으로 천체관측
여행
을 떠나봄은 어떨는지···.천체관측의 순서천체망원경을 꺼내 무작정 하늘을 보기 보다는 절차를 거쳐 천체를 관측해야 효과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아마추어들이 매일 밤 10분씩 한 달동안 변광성을 ... ...
21세기 과학기술문명 시간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21세기가 8년 앞으로 다가왔다. 지금 태어나는 아이가 국민학교 들어갈 때쯤이면 21세기는 화려하게 시작된다. 더이상 먼 미래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 1세기 동안 과학기술은 수천년 인류역사를 통틀어 이룩한 것보다 더 많이 진보했다. 인류가 오랫동안 꿈꾸던 우주에 첫발을 내디뎠으며 컴퓨터 로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