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삼각형의 최대 개수가 26개로 나온다. 그러나 현재까지 25개의 삼각형을 그리는 것까지만
성공
했다. 진정한 고본 삼각형 퍼즐의 매력을 느끼고 싶다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삼각형을 찾는 데 도전해 보자.이번에는 정사각형을 만들어 보자. 이쑤시개를 가지고 견고한 정사각형을 만들기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해도 머릿속에만 있었던 가설 상의 존재였다. 1992년에야 처음으로 지상에서 관측에
성공
해 그 존재가 증명됐다. 다시 말하면 인류는 고작 20년 전까지만 해도 명왕성 부근과 그 바로 바깥까지도 오직 추측으로밖에 알지 못했다는 뜻이다.카이퍼벨트는 기묘한 곳이다. 지름이 100km가 넘는 소천체만 7만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퍼 올리면 그 속에 박테리아 100만 마리가 들어있다. 이 중에서 0.1%에서 0.001%만 배양에
성공
한다. 뒤집어 말하면 이제까지 과학자들이 밝혀낸 종이 전체의 0.1%도 안 된다는 소리다. 신종헌터들은 지구상에 박테리아가 100만 종에서 1000만 종 이상까지 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진핵생물에서는 감히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수직 구조시간을 조사해 보니, 저층부 환자는 0.34분만에 구조에
성공
한 반면, 고층부 환자는 평균 2분이 더 지나서야 구조가 가능했다. 2008년에도 50층 이상 초고층건물이 밀집한 부산 재송동의 응급구조 기록을 연구한 결과가 같은 학술지에 실렸는데, 역시 층수가 높아질수록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장비의 발달로 자포니카 종만으로 자급자족을 할 수 있게 됐다.쌀을 배불리 먹게 됐지만
성공
하기 무섭게 우리 쌀은 추락하기 시작했다. 1980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32.4kg이었다. 그러나 식습관이 변하면서 쌀 소비량이 꾸준히 줄었다. 작년에는 67.2kg까지 줄었다. 세계화로 인한 무역도 문제였다.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월 밤 아까시나무 꽃향기를 맡으며 눈물을 흘리는’ 감성으로 책을 써내려갔다. 이 책의
성공
이후, 다른 출판사에서도 과학책에 감성을 불어넣는 시도를 시작했다. 전 팀장은 “과학책이 점차 따뜻해지고 있다”고 말한다. 냉철한 사고와 과학적 본질만을 추구하던 틀에서 벗어나 우리 삶과 과학의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지금 우리 베이스캠프에서는 떠들썩한 파티가 한창이다. 막 폐막한 제1회 화성 올림픽의
성공
적인 개최를 기념하는 파티다. 오늘 파티에 참석하는 조건은 딱 하나였다. 경기 때 입었던 선외활동용 우주복을 입자는 것이다. 둔하고 불편하지 않냐고? 전혀 아니다. 일상복처럼 가볍고 얇은 우주복이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지맵의 개발사인 맵 바이오텍은 식물공장을 이용해 단일클론항체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 에볼라 당단백질을 세 부분으로 쪼개 쥐에 주입한다. 쥐의 B세포가 반응해 항체를 생산한다. B세포를 암세포와 융합시켜 잡종세포를 얻는다. 잡종세포는 각 당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생산한다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실존 모델이다. 드래곤V2의 전신인 드래곤 무인우주선은 2012년 이미 ISS 화물 운반에
성공
한 최초의 민간 우주선이다. 그만큼 믿을 수 있다는 얘기! 지구로 돌아와 착륙할 때는 ‘반동추진엔진’이 작동한다. 마치 헬리콥터처럼 지구 어디에도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고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고추가 맵다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이 대기업이 아닌 중소 벤처기업이기 때문에 오히려
성공
했다는 평가가 많다. 최기혁 항우연 미래융합연구실장은 “스페이스X나 엑스코 에어로스페이스 같은 회사들은 특별 제작된 비싼 외주 부품을 거의 쓰지 않고 70% 이상의 부품을 자체 공장에서 제작한다”고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