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과정은 간단하지만, 사람에게 실제로 적용하려면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백신으로 사용한 바이러스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도록 안전성부터 확보해야 하는데,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에 대해서는 이를 약화하거나 불활성화하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반응 유도가 빠르다.따라서 대규모 감염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긴급하게 백신을 사용해야 할 때 유용하다. DNA 백신은 RNA를 만들어내기 위해 세포의 핵 속에까지 들어가야 하지만, RNA 백신은 세포 내부에만 들어가도 곧바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핵산 백신은 DNA든 RNA든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도록 동정적 사용(compassionate use‧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시판 승인 전의 약을 사용하는 것) 허가를 받았다. 다만 항체를 이용한 치료제는 아직 만들기 어려워 비싼 것이 현실이다. Q.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은 어떻게 전망하는가? 최근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되는 약들은 주로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제트기류를 통과하는 게 어려워요. 그래서 제트기류를 타고 천천히 떠오르는 방식을 사용해요. 예를 들어서 바람이 드론의 힘(시속 50km)보다 세게 불면 지상에서 봤을 때 드론이 뒤로 밀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점차 높은 고도로 오르고 있거든요. 따라서 EAV-3가 날 수 있는 하늘 공간의 가장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인구가 증가하는 것과 기온 상승의 관계를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고, 그 방정식을 사용해 문명의 미래를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죠. 거대한 모아이 석상으로 유명한 이스터섬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고립된 섬이에요. 이 섬의 주민들은 온난다습한 기후, 풍부한 자원 덕분에 주변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증(코로나19)을 유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이런 전략을 사용한다. 복제된 RNA는 번역 과정을 통해 곧바로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다. 중심원리에서 DNA가 mRNA를 만드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훨씬 효율적인 방법이다. 코로나바이러스, 에볼라바이러스 등 최근 50년간 인간을 감염시킨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Journal of Immunology)’에는 쥐에서 관찰한 새로운 세포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당시 연구에 사용한 쥐는 성체로, 멸균된 환경에서 길러져 특정 위협에 노출된 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이 쥐의 비장에서 세포를 추출해 시험관에서 키운 쥐의 비정상 백혈구 세포와 섞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장에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병원체를 넣어서 면역력을 만들어두는 것이다.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항바이러스제와는 완전히 다른 전략이다. 대부분 백신은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제거했거나 약화시킨 바이러스를 주입한다. 이런 백신을 통해서 인체가 후천적으로 면역력을 획득하면, 이후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준의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때, 백신의 면역반응을 높이기 위해 항원보강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항원보강제가 포함된 백신을 접종하면 항원에 의한 면역반응뿐만 아니라 항원보강제에 의한 선천 면역반응이 추가로 생긴다. 면역반응을 과도하게 활성화하는 것은 때론 독이 되기도 한다.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단백질 백신은 바이러스 전체를 사용하는 세포전체 백신과 달리 바이러스의 항원 부위만 사용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세포전체 백신은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약화하거나 제거해 안전성을 확보하지만, 바이러스 전체를 주입하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걱정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다. 바이러스가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