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
여럿
여러
d라이브러리
"
다
"(으)로 총 9,379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4억6600만 년 전 삼엽충이 지구의 바
다
를 장악했을 무렵, 태양계를 공전하던 소행성들 사이에서 큰 충돌이 생겼
다
. 이 사건은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천문학자들은 지층 속에서 그 단서 ... 오르도비스기뿐만 아니라 실루리아기와 백악기 등
다
양한 시기의 운석을 연구하고 있
다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의 고민을 상담할 ‘디제이(DJ) ㄱ씨’ 입니
다
. 사람들과의 관계가 점점 소원해지는 일이 많아지고 혼술, 혼밥을 즐기는 ‘혼혼족’이 늘어 ... 존재가 됐습니
다
. 새로운 식구로 인정하고 애정을 갖고 끝까지 서로를 지켜가는 반려가족이 되길 바랍니
다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전봉희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의 사무실에는 여느 건축학과 사무실에 흔한 건축모형이 하나도 없었
다
. 대신 한 켠에 고풍스러운 한옥식 문과 한옥 기둥 모형이 놓여 있었
다
. 사무실 풍 ... 의미한
다
.서울대 공대 39동 앞에 있는 이 건물은 서울대 안에서 나무로 만든 유일한 한옥 건물이
다
. ...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현상이
다
. 기후변화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이산화탄소로 촉발된 강화된 온실효과
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
다
! 명태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명태만큼 이름이 많은 생선이 있을까. 우리나라에서는 막 잡아올렸거나 얼리지 않은 싱싱한 명태(생태)나 꽁꽁 얼린 명태(동태)로 얼큰하게 탕을 끓이거나 매콤하게 쪄먹었
다
. 꾸덕꾸덕 ... 계획도 있
다
. 이대로라면 2020년에는 우리 식탁에 양식 명태가 올라오지 않을까 기대해본
다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
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Vision시각은 인류의 가장 큰 정보원이
다
. 시각을 잃는 경우의 불편함은 이루 말할 수 없
다
. 인공 눈을 만들 수 있
다
면 얼마나 좋을까. 나아가 성능 좋은 눈을 만든
다
면?드라마 ‘600만 달러 ... 생쥐를 이용해서 가능성을 시험하는 수준이지만 성공만 한
다
면
다
른 어떤 방식보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살아계셨
다
면 노벨상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발명이라고 생각합니
다
.” 국내 반도체 학계의 원로인 김석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는 강대원 박사의 업적에 대해 ... 에서도 강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올해 처음 ‘강대원 상’을 제정해 2월 15일 첫 수상자를 발표했
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유명 건축가 ‘ 지파나 툭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사방에 눈이 덮여 있는데
다
앞에는 덤불이 우거져 있어 어디가 어딘지 헷갈리기 시작한 썰렁홈즈. 네 갈래 갈림길에서 길을 잘못 들기라도 하면 숲에 꼼짝없이 갇히게 될 것 같았
다
. 그 ... 했
다
. 그 결과….“에취~!”올 겨울도 썰렁홈즈는 낡은 사무실에서
다
무러와 바들바들 떨고 있
다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더. 엄마가 이곳에 있었
다
! 두 남자의 말을 들으니 엄마가 이곳에 함께 갇혀 있는 것 같았
다
.하림은 혼자 빠져나가겠
다
는 생각을 저 멀리 치워 버렸
다
.‘지금 여기서 엄마를 만나야겠어!’ -
다
음 호에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그래서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자인 마리암 미르자카니 교수가 나올 수 있었답니
다
. 미르자카니 교수는 여성교육에 인색한 나라 출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 커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나도 좀 알아 주세요~" 억울한 수학자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Part 2. 왜 그때는 몰라줬나요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