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으로 꾸민 아름다운 공간 ‘벽지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평면을 채울 수 있는 반복 무늬가 대칭성을 기준으로 17가지로 나뉜다는 것을 알아내고 여기에 ‘벽지군(평면의 대칭군)’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즉, 벽지의 무늬를 수학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거예요. 벽지군은 벽지 무늬가 17가지밖에 안 된다는 뜻은 아니에요. 실제 눈으로 보이는 무늬는 ... ...
- [가상인터뷰] 수컷 벌새가 암컷을 유혹하는 복잡한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암컷에게 매력을 발산했지. 먼저, 날개와 꼬리로 ‘윙윙’ 소리를 내 시선을 끌었어. 또, 수컷의 깃털 색은 암컷에게 다가갈수록 빨간색에서 짙은 초록으로 보였지. 수컷이 암컷에게 가까이 갈수록 깃털 색이 진해졌어. 깃털 색이 바뀌는 시간은 120밀리 초에 불과해. 그야말로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을까? 나는 젊은 세대가 직면할 편견을 고칠 의무가 우리 모두에게 있다고 믿는다. 내가 교육 정책이나 다국적 기업의 광고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나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보는 것들을 더 평등하게 만들 수는 있다. 우리 모두 위키백과를 편집할 수 있다. 무엇이 역사가 될지는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2 조용한 겨울의 살인마 일산화탄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실험용 쥐를 이용해 텐트 내 공기 조성의 변화가 생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조사했다. 먼저 텐트 안에 가스랜턴 및 음식 조리에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넣어 분당 산소 변화량을 측정했다. 산소 결핍에 의한 질식을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인간의 뇌가 아니었던가. 사람의 몸으로 할 수 없는 일을 알리타의 뇌는 어떻게 명령을 내리는 걸까. 뇌에서 나오는 전기적인 신호인 뇌파를 통해 명령을 전달하면 된다. 인간은 특정 행동을 생각할 때 뇌의 운동 피질에서 뉴런이 활성화되는데, 뇌와 기계를 잇는 시스템이 이런 활성을 시뮬레이션해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실도 과거와는 다른 점이다. 폐쇄적인 우주경쟁이 아니라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내는 긍정적인 의미에서의 경쟁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 선임연구원은 “앞으로 미국과 중국은 달에 기지를 짓고 자원을 개발하는 등 다음 단계인 화성 탐사를 위해 계속 우주경쟁을 벌일 것”이라고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1인실 기숙사에서 나 혼자 산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통과하기 위해서는 카드키가 필요하고, 경비원이 1층에서 24시간 지키고 있다. 건물 내부에도 복도 계단마다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기숙사 가까이에 중국에서 가장 큰 도심 호수인 동호(東湖)가 있다는 점도 좋다. 동호는 웨딩 촬영지로도 유명해서 봄에 가면 웨딩드레스와 턱시도를 입은 ... ...
- 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개의 축을 이용해 수직으로 나눠 순서쌍 (x, y)라는 좌푯값으로 평면 위의 모든 점을 나타내는 방법이에요. 이미 눈치 챘겠지만 2차원 도면은 평면 좌표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격자에 도면이 그려져 있다고 생각하면 격자의 교차점을 순서쌍으로 읽어낼 수 있어요. 이 2차원 평면 도면의 좌표에 높이에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탑승자는 무사했지요. 일단 탑승자를 먼저 구조한 뒤, 다른 중장비를 이용해 설상차를 빼내었어요. 이렇게 부상 없이 사고를 마무리할 수 있었고, 이후에는 더 안전에 신경쓰며 연구를 했답니다. Q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흔히 남극을 ‘미지의 세계’라고 해요. 1911년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여러분에게 알맞은 카드를 건네줄 수 있지요. 이런 식으로 친구는 영어를 아예 몰라도 내가 어떤 문장을 보여주든 그에 어울리는 문장을 대답할 수 있어요. 그렇다고 이 친구가 ‘Hi’나 ‘Nice to meet you’의 뜻을 이해하고 있는 건 아니지요. 영어 문장을 주고받는다는 것이 곧 그 문장을 이해한다는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