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잉여
찌꺼기
여분
잔여
잔류
잔액
기타
d라이브러리
"
나머지
"(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군부와 경영진 전폭 지원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테이프 내용을 해석해 펄스 열 전기신호 등으로 변환시키고, 이 신호가 기계의
나머지
부분에 입력돼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공작기계는 재료 가공을 시작한다. 따라서 이전처럼 숙련된 노동자가 기계를 다룰 필요가 없어졌다. 프로그램을 제작해 입력하는 것만으로 작업 준비가 완료된다.그러나 NC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지원해준다고 해도, 그것을 국내의 프로그래머들은 아쉬운
나머지
사용할 수 있을지 몰라도 세계의 모든 프로그래머들이 사용할 것이냐는 의문을 남긴다.이 문제는 프로그래머에게 있어서 코드 구성 단위의 문제만큼이나 심각하다. 시스템 프로그래머를 제외한 ... ...
한국 최초의 우주특파원 박찬욱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이르렀다가 다시 6천m로 떨어질 때까지 약 25초동안 무중력상태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는 2g의 강력한 중력가속도를 받기때문에 체력소모가 많고 힘이 들었습니다."박찬욱기자가 놀란 것이 또 하나 있다. 기자의 감수성 때문인지 그곳에 있는 러시아 우주비행사들의 월급과 생활에 대해 ... ...
위궤양치료제 타가메트와 잔탁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치료되는 좋은 결과가 나타났다. 블랙은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교수로 옮겼다.
나머지
임상시험도 성공적일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그러나 1973년 크리스마스직전 에딘버러에서 시험한 한 환자에게서 무과립세포증이 관찰됐다. 1974년 6월 다시 한건의 동일한 부작용이 보고됐다. 부작용은 ... ...
각종충돌 원리로 풀어라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바로 이 경우다. 마우스나 모뎀 중 하나만이 설치돼 있을 때는 별 문제가 없다가도
나머지
하나를마저 설치하고 나면 아무 것도 작동되지 않는 일이 흔하다. 이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마우스와 모뎀이 서로 같은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싸우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 ...
물리- 물레방아 이용한 간이수력발전기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재분포가 이뤄진다. 즉 금속 내부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균형을 이뤄 전기장이 0이 되고,
나머지
전자들은 척력에 의해 금속 표면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전자가 이동하더라도 금속의 내부 전기장은 0이 되므로 안전하다. 그러나 나무 밑의 경우에는 전자가 나무와 땅으로 이동하면서 사람에게 ... ...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문제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현재 미국의 33개 주가 뇌사를 법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나머지
주는 법에 의한 규정은 없으나 뇌사를 의학적인 죽음으로 승인하고 있다.세계적으로는 55개국 이상이 뇌사를 사망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동양권에서는 대만이 1987년 뇌사를 인정해 심장이식술을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일부 잃어 버렸다. 현재는 도로공사와 택지개발 공사 때문에 물이 거의 빠진 상황에서
나머지
매립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정조와 수원 농업의 상징인 만석거가 파괴되고 있는 것은 한국의 농촌 현실을 웅변해 준다.지레 원리를 이용한 농기구들조선 후기에 수많은 농촌 지식인들이 수리기술의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맥(脈) 기육(肌肉) 근(筋) 골(骨) 오장육부(五臟六腑) 경락(經絡)이 그것. 여기서 경락은
나머지
구조들을 연결해 생명의 틀로 엮어 주는 것이다.이처럼 몸에 대한 인식론과 이에 따른 방법론의 차이로 신경이나 혈관의 구조·해부학적 지식들은 경락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의학은 ... ...
머리 좋아지는 냄새는 없을까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각각의 신경세포다. 특정 물질에만 반응하는 수용체 한종류만 갖는다는 것이다.
나머지
한가지 가능성은 신경세포 하나에 여러개의 수용체가 있어 이들이 복합적으로 발현된다는 것.정확한 내용을 알려면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냄새가 뇌의 어떤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아직 정설이 없다.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