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 로켓, 키네틱아트, 인공위성 집중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이날 2시간 정도를 공들여 만든 벌룬샛에 낙하산을 매달아 무게를 재보았어요. 결과는 두 기의 벌룬샛 모두 1000g 초과! 학생들은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촬영 기기를 충전할 보조배터리도 더 작은 용량으로 바꿔서 겨우 무게를 맞출 수 있었답니다. 2주 뒤, 인공위성 팀은 벌룬샛을 띄우기 위해 ... ...
- [이달의 과학사] 존 스노의 ‘감염지도’, 런던을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수는 그전부터 조금씩 줄어들고 있었거든요. 하지만 존 스노의 행동은 더욱 중요한 결과를 낳았어요. 콜레라가 물을 통해 전염된다는 증거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감염지도를 통해 전염병의 원인을 파악하면서 ‘역학’이라는 새로운 의학 분야를 만들어냈거든요. 존 스노의 감염지도는 이후 ... ...
- [만화뉴스] 소리로 그림을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11일, 기초과학연구원 김기문 단장 연구팀은 소리로 화학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먼저,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 위에 물이 담긴 페트리 접시를 올리고 관찰했어요. 소리에 의해 물결이 생겼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물결 간 간격이 좁아졌어요. 연구팀은 소리가 만든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표범' 하늘을 걷는 직지, 건강의 비결은 통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직지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자, 직지를 보러 동물원에 오시는 분들도 많아졌어요. 그 결과 직지는 동물원에서도 가장 잘 보이는 전시관으로 이사를 했어요. 낮에는 사람들이 많이 볼 수 있는 전시관에서 지내다가, 밤에는 내실에서 잠을 자는 생활을 보냈지요. 그로부터 3개월이 지난 뒤 직지는 ... ...
-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낀 장마 전선이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오르내리며 우리나라 상공에 오래 머물렀고, 그 결과 가장 긴 장마가 나타났답니다. 장마 전선에 수증기가 더해지다!이번 장마는 강수량도 어마어마했어요. 장마가 시작된 6월 24일 이후 내린 비의 양은 750mm로(8월 9일 기준), 연평균 강수량(1400mm)의 절반 수준에 ... ...
- [기획] 대벌레! 왜 이렇게 많은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견디지 못하고 죽지요. 경기도농업기술연구원이 2012년 대벌레를 사육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 대벌레 알의 부화확률은 0℃ 이하에서 60일간 있으면 63.3%였지만, 90일 이상이면 30%로 떨어졌답니다. 실제로 지난 겨울(2019년 12월~2020년 2월) 전국 평균기온은 영상 3.1℃로 기온을 관측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맴돌게 되지만, 동시에 몸통을 회전시키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건강한 정자를 식별하고 정자 운동 능력 문제로 발생하는 불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가상인터뷰] 바이킹이 천연두를 전 세계에 퍼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유라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1867명의 바이킹 뼈 화석의 DNA를 수집해서 분석한 결과야.연구진은 바이킹이 천연두 바이러스를 더 넓은 지역에 퍼뜨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비행기를 타고 전 세계로 퍼진 것처럼, 바이킹이 배를 타고 여러 지역을 다니며 바이러스를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먹지 않아요. 2012년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대벌레가 하루 동안 얼마나 먹는지 실험해본 결과, 한 마리의 대벌레는 하루 평균 약 4cm2의 나뭇잎을 먹었어요. 무게로 따지면 약 0.9g 정도지요. 또, 알려진 만큼 알을 많이 낳지도 않아요.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이진구 박사는 “최근 뉴스에서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계절마다 '낮'길이가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이렇게 태양 빛은 발전기 없이도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마법을 부린답니다. 그 결과, 태양광 아쿠아 로봇의 바퀴가 돌며 물 위를 헤엄쳐 다닐 수 있지요. 아쿠아 로봇 조립을 모두 끝냈다면 물이 담긴 수조를 준비해 주세요. 이때 태양이 밝게 비치는 야외로 수조를 들고 가면 더 좋겠죠? 충분한 태양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