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수학자 군나르 칼슨은 위상수학 이론을 데이터 분석에 활용한 ‘위상적 데이터 분석’을 개발해 산업 현장에 활용했고, 그가 세운 회사는 가치가 1조 원에 달한다. 이처럼 수학 이론으로 산업 현장에서 쓸 수 있는 원천 기술을 만들고 이 기술이 실제로 쓰이는 걸 보는 게 천 교수의 꿈이다. 학계나 ... ...
- [과학뉴스] 바이러스로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여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교수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클리니컬 캔서 리서치’ 2018년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면역항암제로도 불리는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면역세포 발현을 억제하는 작용을 막는 암 치료제로,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법규 마련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지만,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의 연구가 종료되는 2019년 5월까지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지는 미지수다. 현재 미국, 일본, 유럽 등은 법규를 마련했다. 박 단장은 “세계 최초로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이종 간 장기이식 임상시험을 ... ...
- Intro. MOONRUSH, 달 탐사 레이스가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우리가 달에 가기로 한 이유는, 그것이 쉬운 일이 아니라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야심찬 목표는 현실이 됐다.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달에 첫 발자국을 남겼다. 그로부터 50년, 인류는 또 한 번 달에 갈 계획을 세운다. 이번에는 좀 다른 이유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말했다. 현재 우주 기술 개발의 화두 중 하나는 저비용이다. NASA,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JAXA) 등 정부 기관이 달에 궤도선이나 착륙선을 보내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최소 5000만 달러(약 560억 원) 이상이다. 요시다 교수는 “아이스페이스는 이론적으로 달 탐사 비용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며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 만V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는 전력 변환기를 개발했다. 이 전력 변환기는 이전에 개발된 장치들보다 훨씬 더 가볍다. 또한 비행기에 실을 수 있을 만큼 크기도 작다. 우리가 만든 첫 번째 비행기는 당연히 사람을 싣고 나는 비행기와는 거리가 멀다. 다만 우리는 전보다 더 큰 화물을 싣고 날 수 ... ...
-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교수는 “스마트 글래스도 점점 얇아지고 가벼워지는 추세기에 스마트 렌즈도 충분히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주인공 진우가 게임을 여러 번 반복하는 사이에, 게임 중인 장소에 현실의 자동차 한 대가 와서 주차된다. 그러자 가상의 캐릭터가 새로 생긴 차 위로 뛰어 오른다! 주변 지형을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말고도 디벨로퍼와 엔지니어도 있어요. 리서치 디벨로퍼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리서치 엔지니어는 머신러닝을 바둑과 접목한 알파고처럼 연구 결과를 실생활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요. ● 수학자 홀린 인공지능의 매력 김 기자 : 수학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았는데, ...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돼지들은 뛰어난 감각으로 사람들을 돕기도 해. 사람들은 우릴 보고 둔하다고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단다. 우리의 감각이 얼마나 예민한데! 돼지가 땅 속의 송로버섯 찾는다! 송로버섯은 다른 버섯과 다른 특유의 향 때문에 세계적으로 귀한 음식으로 꼽혀요. 그런데 이 향 때문에 아주 오래전 ...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이 값을 이용해 터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10초 이내의 간단한 조정만으로 사물을 터치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기술로는 터치에 따른 소리를 분석하는 데 수백 초가 소요됐다. 신 교수는 “이 기술은 마이크를 3~4개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