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뉴스
"
공기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열기구타고 우주여행하는 시대올까
2015.11.15
1인당 190달러(약 22만원)의 저렴하지 않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버너로 풍선 속
공기
를 데우자 정수리가 뜨거워지며 열기구가 커다란 ‘모자’를 뒤짚어썼다. 빵빵하게 부풀어 오른 열기구는 순식간에 상공 1500m까지 치솟아 오른 뒤 바람을 타고 카파도키아 지역을 순회한다. 카파도키아 ... ...
방사성 폐기물 운송 치밀한 '한밤 대작전'
2015.11.13
나른다. 이날 운송할 폐기물은 모두 96드럼, 원자력연구개발 과정에서 사용된
공기
정화필터들이다. 대부분 보호 장비 없이도 만질 수 있지만 저준위 폐기물로 구분돼 드럼통에 넣고 시멘트를 부어 굳힌다. 홍대성 원자력연 재료조사시험평가부 책임연구원은 “운송차량의 균형을 맞추고 ... ...
미생물, 우주에선 더 강력해진다
2015.11.13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비옴(microbiome)’ 10월 27일자에 발표했다. ISS의
공기
필터와 청소기 먼지봉투에서 채취한 시료 속 미생물을 지구로 가져와 배양하자 미생물 조성이 우주에서와 다르게 나타났다. 일부 미생물의 비율이 지구에 있을 때보다 100~300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이 교수는 ... ...
지진 땐
공기
가 집 들어올려 피해 줄여… 日 첨단기술에 눈 ‘반짝’
동아일보
l
2015.11.12
초기 진동을 센서가 감지해 자동으로 지반의 에어매트에
공기
를 주입한다고 덧붙였다.
공기
가 집을 들어 올린다는 놀라운 이야기에 학생들의 눈이 반짝반짝 빛났다. 이후 방문한 지진방재관에서는 진도 변화에 따른 지진 상황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었다. 일반 가정집의 식탁처럼 꾸며진 진동판에 ... ...
클린에너지 수소 만드는 미래 원자로, 안전성 시험 첫 단계 ‘통과’
2015.11.11
용기에 전달되면 원자로공동냉각장치(RCCS)로 다시 전달된다. 이때 열을 받아 가벼워진
공기
(빨간색)은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빈 공간으로 외부의 찬
공기
(파란색)이 흡입돼 자연순환하는 방식으로 잔열이 제거된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 ...
숨막힌 중국… 숨막힐 한국
동아일보
l
2015.11.11
있다고 전망했다. 당국자는 “조만간 난방 공급이 시작된다”며 “앞으로 약 2개월간
공기
오염을 개선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대기 오염은 곧바로 서풍을 타고 날아와 불과 하루 이틀이면 한반도에 도달하기 때문에 올겨울 ‘중국발 스모그 비상’이 예고되고 있다. 실제로 10일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2] 국산 핵융합장치 KSTAR의 진공배기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09
유지를 위해 총 12대의 진공 펌프를 가동하며, 이들을 작통시키면 초당 4만L 가량의
공기
를 바깥으로 뽑아내게 됩니다. 이는 가정용 진공청소기 1300여대를 가동하는 것과 비슷한 성능입니다. 이렇게 진공 상태를 만들어 진공용기 내의 압력이 대기압의 10억분의 1 정도로 낮아졌을 때, 비로소 플라즈마 ... ...
수도권 12개 大 연구원 인터뷰 “건국대 사태, 남 얘기 아니다”
2015.11.09
진행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을 때가 종종 있었다”며 “세균이나 세균의 포자가 물이나
공기
를 통해 전파될 소지가 다분하다”고 말했다. 실험 안전에 대한 연구원들의 낮은 인식도 지적됐다.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졸업생은 “쥐에 투입해야 할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주사기를 자칫 ... ...
대학 안전의식 심각… 안전사고 10건 중 9건이 대학
2015.11.09
관계자는 “생물 안전교육을 별도로 실시하고 있다”며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의
공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험실의 공조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대학 차원의 노력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 ...
건국대 폐렴 사고 원인은 썩은 동물사료 속 ‘곰팡이’
2015.11.09
등 미생물을 다루는 대학 실험실에서는 미생물이 섞인 폐기물의 뚜껑을 열어 놔
공기
중에 퍼질 위험을 높인다거나, 세균 전용 실험 냉장고에 음식물을 보관해 감염 위험에 노출되는 등 가장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어긴 사례가 다수 적발됐다. 본보가 수도권 12개 대학에서 미생물 관련 실험실에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