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연구된 바가 없다는 게
전문가
들의 설명이다.건양대 의대 지희윤 교수팀은 2003~2004년 서울에서 채집한 비둘기 배설물에서 곰팡이의 일종인 크립토코커스균을 검출했다. 이 균은 드문 경우 뇌수막염이나 폐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독감(AI) 바이러스처럼 고병원성이었다면 지금쯤 전 세계는 패닉에 빠져있을 것이다.
전문가
들이 걱정하는 부분도 혹시 신종 바이러스와 AI 바이러스가 합쳐져 신종 바이러스의 전파력과 AI의 고병원성을 갖춘 ‘괴물’이 나타날까하는 점이다. 아무튼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건 전파력보다는 고병원성 ... ...
色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번갈아가며 화면에서 작렬하는 장면을 본 어린이 수백 명이 해를 입었다. 이 현상에 대해
전문가
들은 격렬하게 깜빡이는 색광(色光)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반응을 내놓았다.먹음직스러운 음식을 만드는 데에도 재료, 양념만큼 색이 중요하다. 백열 전구의 빛은 음식을 맛있어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없다.헤럴드 모로비츠의 질문은 엉뚱해 보이지만 실은 통찰력이 있었다. 우리 같은
전문가
가 지구의 광물들이 오랜 지질학적 시간에 걸쳐 놀라운 방식으로 진화해왔다는 그 명백한 사실을 잊고 있었다는 게 놀랍다. 하지만 지구의 역사를 흘끗 보더라도 진화는 명백히 일어났다. 이 질문이 함축하는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한다. 치아는 상피와 중간엽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는 게
전문가
들의 설명이다. 상피로부터 치아 형성을 시작하는 인자가 분비되면 이를 중간엽세포가 받아 상아질, 치주조직 등 치아 구성요소를 만드는 식이다. 박 교수는 “생쥐에서 구강 상피세포를 떼어 중간엽을 대신하는 골수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오히려 그런 점 때문에 비전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서 미술품을 복원할 수 있는
전문가
는 거의 없다. 최근 국내에서는 클림트 같은 유명 화가가 그린 작품의 순회 전시회가 늘고 있으며 해외에서 그림을 구매해 소장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그만큼 국내에서도 미술품 복원가의 손길이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항바이러스제를 남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Q8. 신종 인플루엔자 팬데믹 될까?
전문가
들은 신종 인플루엔자가 전 세계로 계속 퍼져 나가며 대유행(팬데믹)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발생 초기보다 사망자 수나 전파속도는 줄었지만 쉽게 사라질 조짐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고려대 의대 ... ...
‘분장실의 강선생님’ 만든 분장화장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소수점 셋째자리 퍼센트 정도의 함유량이므로 피부에 바르기에는 무해하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
들은 복숭아털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특이 체질이 있듯이, 천연재료가 누구에게나 안전한 것은 아니라며 오히려 위생관리가 없으면 천연재료가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한다. 타르색소는 화장품의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초음속으로 흐르는 공기 가운데에서 연소 작용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
들은 스크램제트 엔진의 연소를 강풍 가운데에서 성냥을 켜는 데에 비유한다. 서울대 정인석 교수는 “초음속 상태에서 엔진으로 들어오는 공기에 직각 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방법 등이 논의되고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유다.색채 마케팅이 가능한 이유는 오감 중 시각이 갖는 중요성에서 찾을 수 있다.
전문가
들은 대체로 상품을 살 때 시각(87%)을 통해 얻는 정보의 비율이 청각(7%), 촉각(3%), 후각(2%), 미각(1%)을 크게 압도한다고 분석한다.여주대 광고홍보디자인과 손상희 겸임교수는 2002년 펴낸 ‘감성 디자인에서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