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d라이브러리
"
위아래
"(으)로 총 3,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상 풍화의 절정 설악산 흔들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강원도 속초에 가면 한번은 들르게 되는 곳. 바로 설악산이다. 하늘을 찌를 듯한 날카로운 첨봉과 기기묘묘한 형태의 암석들이 함께 어우러진 설악산은 바위산이 뿜어낼 수 있는 자연미의 극치를 보여준다.그 가운데서도 외설악에 있는 울산바위 아래 계조암(繼祖庵) 앞에는 마치 커다란 공 모양의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미세 바코드에 예술품, 보석이나 무기명 채권 등고가품에 대한 기록을 암호로 저장하면 도난당했을 때 원래의 주인이 쉽게 찾을 수 있다. 기온 습도 태양복사 등 여러 기상요소를 조합하여 상쾌·불쾌의 정도를 수치로 표시한 것 불쾌지수는 다음 식으로 얻어진다 즉 072×(기온+습구온도)+406 공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동아일보 동아문화센터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하고 LG가 후원한 중·고교 과학교사를 위한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올해로 25번째를 맞았다. 지난 8월 15일부터 2박3일간 이뤄진 이번 탐사에서는 강원도 횡성 일대의 곤충들을 채집했다. 강원도 각 시·군에서 모인 교사들은 한낮 무더위도 잊 ... ...
지구를 흔드는 허리케인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나타났다. 허리케인 아래에 놓인 지구 표면은 0.9에서 3밀리헤르츠(mHz)에 이르는 진동수로
위아래
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런 낮은 진동수의 흔들림은 거대한 지진에 이어 관측된 적은 있지만, 허리케인이 그 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미래 기술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와이어드넥스트 2005’가 지난 6월24일~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세계 각국의 100여개 첨단 연구소와 기업이 참여해 통신·디자인·엔터테인먼트·탐험·보건 각 분야에서 성큼 다가온 첨단 기술 사회의 청사진을 그렸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철 등의 금속으로 만든 주형, 또는 플라스틱 등의 성형용(成型用)으로 사용되는 것과
위아래
의 형 사이에 금속의 얇은 판이나 플라스틱판 등을 끼우고 정해진 형상으로 프레스해서 완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제의 형이 있다인플루엔자나 수두 등 바이러스성 질환에 걸린 뒤 드물게 일어나는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5000m 심해에 도착해 처음으로 잠수정 라이트를 켠 순간을 지금도 잊지 못합니다. 깜깜하던 주위가 갑자기 밝아지더니 고려청자색 바닷물이 눈앞에 펼쳐졌어요. 태평양 깊은 곳에서 조상의 숨결을 느꼈죠.”한국해양연구원 김웅서(47) 박사는 지난해 6월 하와이 남쪽에 있는 5000m 깊이의 심해 광구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아프리카와 서북단 대서양의 검푸른 바다 위에 500km에 걸쳐 솟아 오른 7개의 섬들로 이뤄진 카나리아 제도. 비옥한 토양과 아열대성 기후로‘행운의 섬’이라 불리기도 하는 이 제도는 15세기 이후 줄곧 스페인의 통치 아래 있다.화산 활동으로 대륙의 해안을 따라 길게 생겨난 섬들은 바다와 산악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대부분이다. 휴대전화의 세로 화면으로 영화를 보면 가로 세로 비율 때문에 화면의
위아래
를 상당 부분 낭비하게 된다. 화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황 수석은 “시각적으로 편안하면서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면이 가로로 긴 형태”라고 말했다. 찾아보면 우리 주변은 가로본능 천지다. 각종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옛 고구려 땅인 중국 랴오닝(遼寧)성 시헤툰(四合屯) 지역은 지난 1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화석이 산출된 곳이다. 이곳은 원시깃털공룡인 중화용조가 1996년 발견돼 ‘네이처’ 1998년 1월호에 발표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중화용조는 공룡이 깃털을 가졌다는 최초의 증거였으며, 새가 공룡에서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