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냥법] 식충식물, 슉~ 빨아들이고, 미로에 가두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지금까지 발견된 식충식물은 750여 종으로, 고산 지대부터 사막에 이르는 전 세계에서 발견되고 있어요. 한반도에는 14종이 살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0.3초 만에 사냥 종료! 식충식물[사냥법] 식충식물, 슉~ 빨아들이고, 미로에 가두고![공생] 식충식물의 놀라운 변신!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 제주도에서 만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수 있다고 해요. 매일 몇 시간씩 수년 간 돌고래를 관찰한 결과지요.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한 이후부터는 이를 천천히 따라다니며 돌고래의 행동을 꼼꼼히 기록했어요. 이 기록들이 모이면 남방큰돌고래의 습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요. 드론을 꺼내 바다 위로 날리기도 했답니다 ... ...
- [가상인터뷰] 공룡, 사실 혀를 날름거리지 못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공룡이 파충류에 속하기 때문에 변온동물이라고 주장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공룡 뼈에서 발견된 성장선을 근거로 포유류와 같은 항온동물이라고 주장하고 있지. 또 공룡이 왜 멸종됐는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분분하단다. 앞으로 과학자들이 밝혀낼 새로운 공룡 이야기에 많은 관심을 가져 줘~ ... ...
-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1nm 크기의 나노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거대한 구름 띠가 세 별을 둘러싸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요. 수많은 다이아몬드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충돌하면서 마이크로파를 만들어낸 거예요. 연구팀은 “다이아몬드 입자들이 어떻게 생성됐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며, “별이 만들어지는 높은 ... ...
- [공생] 식충식물의 놀라운 변신! 화장실이야, 호텔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교수와 연구진은 ‘하드윅양털박쥐’가 헴슬레야나 통풀 안에서 낮잠을 잔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통풀 속은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고 박쥐를 괴롭히는 기생충도 없어요. 특히 헴슬레야나 통풀은 박쥐가 낮잠을 자기 좋도록 담긴 액체도 적고 길쭉하게 생겼죠. 연구진이 여러 종류의 ... ...
- [과학뉴스] 생명의 흔적일까? 화성에서 유기화합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붉은 행성, 화성에는 과연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요?지난 6월 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화성에서 활동 중인 무인탐사 로봇 ‘큐리오시티’가 유 ... 유기화합물이 생명체의 흔적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오래전에 만들어진 유기물이 발견된 만큼 곧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훨씬 큰 채집망을 든 채 잎사귀와 꽃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살펴보았어요. 그리곤 곤충을 발견하면 채집망을 식물의 가지 아래에 두고 톡톡 쳐서 그곳에 붙어 있던 곤충을 채집망 안으로 떨어뜨렸지요. 그뒤 채집망을 열면 쉽게 곤충을 채집할 수 있었답니다. 이날 대원들은 옆검은산꽃하늘소,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7종의 유전자를 분석해, 녹색 피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서로 다른 조상에서 비롯됐다는 걸 발견했어요. 도마뱀 7종은 출발점과 진화 과정이 모두 달랐지만, 환경에 적응한 결과 모두 녹색 피를 갖게 된 거지요. 이는 녹색 피가 도마뱀의 생존에 도움이 된다는 걸 의미해요. 연구팀은 담록소의 독성이 ... ...
- Part 2. 한반도 바다에 나타난 낯선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넓은띠큰바다뱀’이 대표적이지요. 2012년과 2015년에 각각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해안가에 종종 출몰하고 있답니다.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종도 함께 바뀌고 있어요. 오징어의 경우, 수온이 상승해서 동해에서 북한 쪽으로 올라갔어요. 이를 중국 어선들이 무분별하게 잡아 들여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그런데 2014년 경남 남해군 남해대교 지구 일대에서 흰발 농게 45개체가 한꺼번에 발견됐어요. 그해 12월 국립공원관리공단 한려해상국립공원사무소는 흰발농게의 서식지를 보존하기 위해 이곳을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사람의 출입을 막았지요. 지정 후, 흰발농게 개체수가 늘긴 했지만 한계가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