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웨스츠신 박사에게 7백만달러의 복제연구기금을 지원했다. 개 복제에는 성공하지
못
했지만 대신 이 과정에서 같은 연구팀의 한국인 과학자 신태영 박사가 세계 최초로 고양이 ‘시시’(cc, 흉내쟁이란 뜻을 가진 Copy Cat의 약자)를 복제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개는 동아시아에서 전세계로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한국을 떠나 외국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빼놓지 않고 하는 말이다. 김치 없이는 정말
못
산다는 노랫말까지 있으니 우리 민족과 김치는 결코 뗄 수 없는 사이인 듯하다. 과학적인 발효 식품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는 김치. 김장철을 맞아 김치 속에 숨은 과학 이야기에 접근해보자.삼투압 원리로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cDNA칩은 기판에 심기 위한 cDNA를 계속 증폭시켜야 하기 때문에 하루에 3백장 정도밖에
못
찍어낸다. 반면에 약 15-25개의 염기들로 이뤄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칩은 cDNA의 일부 염기를 인공적으로 합성해낸 것을 심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물론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으로 의미 ... ...
최초의 핵실험에서 핵무기 금지협상까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모든 것을 삼켜버릴 듯한 불길이 일면서 미국 뉴멕시코 사막은 환하게 빛났다. 앞을
못
보는 사람조차도 빛을 느낄 정도였다. 이 실험은 트리니티 테스트(Trinity Test)라 불렸는데, 과학자들이 예상한 것보다 4배가 넘는 에너지가 발생했다. 원자폭탄의 폭발력은 TNT 2만t과 맞먹었다.원자폭탄을 만들기 ... ...
왜 수학이 의료장비 개발에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중반까지만 해도 역문제는 고도의 비선형성 때문에 수학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끌지
못
했다. 이러한 역문제가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고, 수학의 중심이 되는 분야 중 하나로 성장한 것은 지난 20여년 동안의 일이다. 국내 연구 세계적 수준20세기를 통한 수학의 놀라운 발전과 컴퓨터의 성능 ... ...
연구형 국제 경시대회 참가자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금상을 비롯해 좋은 성적을 거뒀다. 그런데 올해는 우리나라가 이 대회에 참가하지
못
했다. 그동안 이 대회를 어렵게 이끌어오던 서울대 생물교육과 장남기 교수가 은퇴하면서 대회조직과 지원이 없어진 상태다. 장남기 교수는 정부나 기업의 지원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가 꾸준히 이 대회에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세노만세 사이에 가장 번성했던 암모나이트의 일종으로, 껍데기는 얇고 매끈하며 나사
못
처럼 S자형으로 굽어 있다비교적 먼 바다의 퇴적층에서 발견된다 전파분류의 한 구분으로서 주파수 30~300MHz, 파장 1~10m 범위의 전파 약호는 UHF 텔레비전 · 자동전화기 · 레이더 · 고정통신 등에 이용된다 ... ...
천상으로 뻗은 고속도로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이어진 얇은 케이블 한쌍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하지만 이때까지도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
했다.마침내 우주엘리베이터는 1975년에야 우주비행 공학자들 사이에 주목받기 시작했다. 미공군연구소의 제롬 피어슨 박사가 우주엘리베이터에 대한 기술적인 논문을 발표했던 것이다. 이 논문은 클라크의 ... ...
군사용으로 출발, 의료까지 적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발견해 놀란 적은 없는가. 대낮에는 훤하게 보이지만, 빛이 사라지면 우리 눈은 맥을
못
춘다. 우리 눈은 가시광선이라는 빛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밤에도 또다른 종류의 빛이 있다. 바로 사람이 내는 적외선이다. 수백℃ 이하인 물체들은 적외선을 방출한다.적외선을 이용하는 장비 가운데 ... ...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쌍둥이자리 유성우 또한 2일 간이나 지속되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에 역시 비할 바가
못
된다. 이 사실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경우 다른 유성우와는 달리 매해 보고 즐길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역사상 가장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던 유성우 가운데 하나다.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