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대
university
d라이브러리
"
대학교
"(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좀비가 된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된 거예요. 좀비가 된 동물도 있어!사람뿐 아니라 동물 좀비도 있어요. 미국 펜스테이트
대학교
데이비드 휴즈 박사 연구팀은 태국에서 좀비처럼 이상행동을 하는 개미를 연구했어요. 이 좀비 개미들은 비틀거리다가 정오 즈음 높은 식물의 잎사귀나 줄기에 올라갔어요. 그러다 밤이 돼서야 생을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작으면 안 돼요. 단단한 과일 나무의 가지가 가장 적당하답니다. 최영민 수의사. 건국
대학교
에서 수의학 박사를 받았으며, 최영민동물의료센터를 운영 중이다. 서울시수의사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TV 동물농장’ 프로그램의 자문을 맡고 있다 ... ...
아프리카돼지열병 퇴치 작전, 수학으로 돼지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우주에서 인류를 위한 실험을 마치고 대한민국으로 돌아온 날.우리 우주비행 돼지들은 충격적인 현장을 목격했습니다. 바로 끝이 안 보이는 돼지 무덤이었 ... 김영봉 건국
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과 교수(케이알바이오텍 대표이사), 도영해 경북
대학교
수학과 교수, 이창형 UNIST 수리과학과 ... ...
[수학뉴스] 정수보다 작은 수 체계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참?!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쌍둥이 소수 추측 증명에 가장 앞선 성과를 거뒀던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유한한 범위를 잘 이해할 수 있다면, 정수 세계를 훤히 밝힐 수 있을 것”이라 말했습니다. ... ...
[맛있는 수학] 철판 아이스크림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상호의존도를 훨씬 쉽게 계산하는 방법이 개발됐습니다. 르네 실링 독일 드레스덴공과
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거리 다변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3개 이상의 고차원 변수들 사이의 상호의존도를 측정했습니다. 변수 자체의 값뿐만 아니라 변수들끼리의 상호 거리도 계산했고, 이를 통해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생물에서 발견되곤 하지요. 그래서일까요? 2017년 타소스 분디스 그리스 파트라이
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몬드리안의 그림에서 복잡하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가 프랙털 성질을 갖는지 분석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두 작품의 나뭇가지에서 모두 프랙털 구조를 발견했습니다. ... ...
[가상인터뷰] 게와 새우를 합쳐놓은 듯한 게 화석 '키메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절지동물의 시조가 됐을 거라 추정하고 있어. 이번 연구에 대해 미국 플로리다국제
대학교
의 헤더 브래켄 그리섬 진화 생물학자는 “새로 발견한 게 화석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독특한 신체 형태를 갖기 때문에 게의 진화 역사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지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주셨답니다! ┼인터뷰 “남극에서 블랙홀을 관측했어요!”_김준한(미국 애리조나
대학교
천문학과 연구원) Q EHT 프로젝트에서 어떤 일을 하셨나요? 2013년부터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남극점 망원경’의 관측 장비를 개발하고 블랙홀을 관측했어요. 원래 남극점 망원경은 우주배경복사를 ... ...
[수학뉴스]키리가미로 어떤 모양이든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잘라 유연성에 변화를 줘 입체를 만듭니다. 락쉬미나라야난 마하데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응용수학과 교수팀은 키리가미 테셀레이션으로 원하는 모양을 설계할 수 있는 패턴을 만드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얇게 펼쳐진 물체를 어떤 패턴으로 자르면 원하는 3차원 모양을 만들 수 있는지 알아낸 겁니다 ...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최근에는 플라스마의 성질을 나타내는 편미분방정식을 연구하는데 빠져있어요. Q20세에
대학교
를 졸업하셨다고요! 중2 때 한국과학영재학교에 합격해 중학교를 조기 졸업했어요. 고등학교도 6개월 먼저 졸업 학점을 채워 남들보다 일찍 KAIST에 입학했어요. 그런데 KAIST에는 고등학교에서 공부한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