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산업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로봇이 이제야 자판기로 그 영역을 확대한 셈이다. 지
난
해 초 키오스텍이라는 국내 자판기제조업체에서 무인점포자판기를 선보였다. 이 업체에 따르면 현재 설악산, 금강산과 같은 몇군데 여행지에 이 자판기가 설치돼 있다.커다란 유리창 안에 수백가지의 제품이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적외선 사진을 보면 검은 기둥은 사라지고 먼지 뒤에 숨어있던 별들이 많이 나타
난
다. 특히 가장 큰 기둥 안에 있던 붉은 별 가운데 일부가 알 속에 든, 몸집이 작은 태아별로 확인됐다.독수리성운은 생명이 깃든 비옥한 곳이다. 하지만 성운 근처 별무리에서 내리쬐는 강렬한 자외선으로 보금자리가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것이다.■ 어떻게 먹어야 할까 -입맛 서구화 막고 음식은 골고루 섭취한국인이지
난
1969년부터1998년까지30 여년 간 섭취한 식품량의 변화 경향을 살펴 보면 식물성 식품의 섭취 비율은 96.8%에서 82.1%로 감소한 반면, 동물성 식품 비율은 3.2%에서 17.9%로 증가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인은 굳이 채식을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방법은 임란 때의 3척 중에서 1척을 인양하는 것이고, 아쉬운 대로 임진왜란이 끝
난
후 만들어진 수십척 중 1척이라도 건져 올린다면 그나마 다행이다.임진왜란 때 일본 배와 싸움을 벌린 주체는 3척밖에 없는 거북선만이 아니고, 사실은 판옥선이라 불리는 일반 전투함이다. 거북선과 거의 같으나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치우쳐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즉 고대에서 현대까지 역사 속에 나타
난
다양한 과학의 발전에 주목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과학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는데 아직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또 우리나라 과학사를 발전시킨 인물에 대한 연구가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위한 수정란의 보관 및 냉동수술에 냉동액체가 쓰인다. 예를 들어 사마귀와 같은 피부에
난
종양을 없앨 때 냉동수술법을 쓴다면 피가 나지 않는다. 액체 질소로 사마귀를 급속 냉동시켜 떼어내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식 장기를 냉동시켜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는 등 의료분야에서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강연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또한 영국왕립학회와 미국과학재단에 기금을 후원해 뛰어
난
과학자들에게 매년 럼포드 메달을 수여하게 했고, 하버드대에 기금교수 자리를 신설했다. 이들 모두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살롱에서 맺어진 인연1805년 그는 독일로 가는 길에 나폴레옹의 초청을 받고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겨울밤하늘은 유
난
히 화려하다. 밤이 깊어지면 고개를 들어 하늘을 쳐다보자. 무척 밝은 별 하나가 바로 머리 위에서 빛
난
다. 바로 목성이다. 이번달 더욱 밝아진 목성 ... 대적반을 볼 수 없을 것이다. 그 다음 대적반을 볼 수 있는 시각은 목성이 정확히 한바퀴를 돌고
난
9시간 55분 뒤다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갈고리 모양 나방’ 암컷은 자작나무나 오리나무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
난
어린 애벌레는 나뭇잎에 실로 작은 텐트를 만들어 다른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그러다 다른 애벌레가 자신의 구역에 침입하면 처음에는 노처럼 생긴 뒷다리로 나뭇잎을 긁어 진동음으로 경고 메시지를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컴퓨터를 때로는 귀찮고, 때로는 그리운 남 같지 않은 친구로 여기기 시작했다. 이미 지
난
한 세기를 컴퓨터와 함께 뒹굴었기 때문일까. 이제야 드디어 편해진 친구가 된 것일까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