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상태
상테
스페셜
"
자연상태
"(으)로 총 4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 진정한 사랑?...마음 속에서 스스로 생겨나는 것
2020.09.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랑처럼 다양한 쓰임이 있는 개념도 없다. 애국심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고 애향심은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이며 애교심은 학교를 사랑하는 마음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시시한(?) 사랑 말고 좀 더 직접적인 ‘좁은 의미의’ 사랑을 이야기해보자. 바로 연애(戀愛)다. 그리 ... ...
메뉴판서 ‘피쉬 앤 칩스’ 사라지고 ‘해파리 앤 칩스’ 먹어야할 날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해파리. 호주 퀸즐랜드대 제공 생물 다양성 감소를 막기 위해 ‘피쉬 앤 칩스’ 대신 ‘해파리 앤 칩스’를 먹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카리사 클레인 호주 퀸즐랜드대 생물다양성 보존과학센터 연구원팀은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전 세계 어업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 ...
실험실에서 탄생한 ‘인공모유’ 분유시장 지각변동 일으킬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19
GIB 제공 갓 출산한 산모의 모유에는 산모의 면역성분과 미생물,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다. 신생아의 면역력을 높이고 균형잡힌 영양소 공급이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모유 수유가 권장되고 있지만 막상 상당수 산모들은 모유 수유에 어려움을 겪는다. 모유가 잘 나오지 않을 수도 있고 직장에 복귀하 ... ...
1조5000억원짜리 중이온가속기 구축사업 또 ‘삐걱’...일정 연장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중이온가속기(RAON) 시설 조감도.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우주 생성의 근원을 입자 수준에서 탐색하고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희귀 동위원소를 찾아내는 등 기초과학 경쟁력을 가늠하는 잣대로 여겨지는 중이온가속기 ‘라온’ 구축 사업이 또다시 삐걱대고 있다. 2018년 12월 중이온가속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수두파티, 그리고 코흐
2020.09.1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파스퇴르의 백신 개발로 유럽인의 평균수명이 비약적으로 늘어났고 20세기로 넘어가 면역학이 눈부시게 발전했으나 아직도 일부에서는 백신과 면역의 원리를 인정하지 않는, 또는 부작용 때문에 백신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다. 한국에서는 일부 맘카페 중심으로 자연치유방 ... ...
국내 항체보유율 0.07% "집단면역 통한 방어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시민들이 20일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방역당국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항체가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1440명 가운데 항체 및 중화항체를 보유한 사람은 1명으로 항체 ... ...
[팩트체크] 홍콩연구자 "코로나19 우한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우한 의료 폐기물 처리하는 용역업체 직원. 중국 우한의 한 산업 폐기물 처리 업체의 직원이 5일 의료 폐기물이 보관된 컨테이너를 소독하고 있다. 이 회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기 시작한 이후 산업 폐기물 대신 의료 폐기물 처리에 주력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제공 1 ... ...
올해 잦은 대형 태풍, 태평양 수온 상승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제8호 태풍 '바비'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며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안가에 강한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최근 한반도를 잇따라 휩쓸고 간 대형태풍이 발생한 이유가 북태평양 필리핀 주변 바닷물의 온도가 올랐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북태평양 해역 ... ...
"긴 장마, 기후변화 탓만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2020년 한국은 이례적으로 긴 장마 기간을 경험했다. 이 같은 장마의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흔히 꼽히지만, 실제로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작도 대기의 내부 불안정성에 따른 강수량 변화가 훨씬 큰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동아일보 DB 올해는 장마가 이례적으로 긴 해다. 1973년 이후 가장 길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데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천 년 전 농부들이 발명한 기술(물론
자연상태
에서도 식물 사이에 종종 접붙이기가 일어나지만)이 21세기에 새삼 주목을 받으며 과학자들의 본격적인 도전을 기다리고 있다. 서로 불친화성인 두 식물도 친화성이 큰 식물을 사이접수(interscion)로 쓰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