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어
술어
시한
기한
총칭
말
말씨
스페셜
"
용어
"(으)로 총 320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⑨계산하는 기계 배우기
2019.04.30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엉뚱한 질문에 “참 좋은 질문이네.”라고 시작하며 어려운
용어
를 나열하며 얼버무리던 노교수님이 떠올랐다. 사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단지 아이에게 변수를 이용한 반복 횟수 제어를 훈련시키고 싶었을 뿐이다. 변수와 연산을 사용한 아이의 코딩 결과물. ... ...
성층권에 탄산칼슘 뿌려 햇빛 차단...올여름 지구온난화 방지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탈퇴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이 위태로워지면서 대안이 필요해졌다. ‘지구 온난화’라는
용어
를 널리 알린 미국 기후학자 월리스 브로커 박사는 지난달 18일 87세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 일주일 전 애리조나주립대에서 열린 강연에서 “인류와 과학계가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극단적인 해결책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당뇨병'은 질병인가 상술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ADA가 처음 의사들과 대중들이 혈당 수치를 좀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만든
용어
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이에 동조해 당뇨와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ADA가 제시한 방향을 따랐다. 문제는 ADA가 이를 통해 환자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2009년 ADA는 유럽당뇨병학회(EASD)와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④첫 번째, 코딩 준비 운동하기
2019.02.25
로봇이라면 로봇에 대한 코딩이다. 단, 로봇에 대한 코딩은 로봇이 알아들을 수 있는
용어
로 기술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아빠에게는 한국어로 하면 그만이지만, 로봇에게는 그만의 특별한 방식이 있기 때문이다. 이제 실제 컴퓨터를 이용한 코딩을 살펴볼 차례다. 2권의 참고 교재. 기본적인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③컴퓨터와 대화하는 법
2019.02.11
백문이 불여일타(打)임을 아이에게 끊임없이 전달할 것이다. “Keep Calm and Write Code!”
용어
설명 NP 문제. 다항 시간 안에 답을 찾는 법은 모르지만 답이 옳은지 확인하는 데 얼마의 다항 시간이 필요한지는 알 수 있는 문제를 말한다. ※필자소개 김기산. 기업에서 IT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부족함’을 뜻하는 'penia'를 합쳐 ‘sarcopenia(근감소증)’란 신조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
는 학계에서 즉각 받아들여졌고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다. 근감소증은 낙상 같은 보행 관련 사고뿐 아니라 전체 유병률 및 사망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나이가 듦에 따라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
2019.01.21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로 정의했다.
용어
하나하나 모두 학적 개념에 대한 엄밀한 합의가 필요한 것들이다. 학부부터 박사까지, 거기에 개발자로서 모두 25년 가까이 지내왔지만 ‘컴퓨터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쉽게 정리하기 어렵다. ‘컴퓨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시작하지도 않았는데 신문에는 벌써 ‘삼한사미(三寒四微)’라는, 수년 전 만들어진
용어
가 등장하고 있다. 이 말의 원조인 ‘삼한사온(三寒四溫)’은 우리나라 겨울이 사흘은 추워도 나흘은 포근해서 버틸 수 있다는 뜻으로 ‘삼한’이 겨울의 부정적 측면이었지만, ‘사흘은 춥고 나흘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1960년 클라이트만은 이를 가리키는 ‘기본휴식활동주기(basic rest-activity cycle)’이라는
용어
를 만들었다. 1982년 국제학술지 ‘수면(Sleep)’에 발표한 ‘기본휴식활동주기-22년 후’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에서 클라이트만은 자신의 이론을 지지하는 다양한 연구사례를 소개했다. 즉 식욕과 목마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후각수용체(olfactory receptor)라는
용어
대신 ‘화학수용체(chemoreceptor)’라는 일반적인
용어
가 적절하다는 언급도 나온다. 참고로 후각과 미각처럼 분자가 직접 수용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전달하는 감각을 화학감각(chemical sense)이라고 부른다.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코 이외의 장기에서도 발현된다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