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스페셜
"
옆
"(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⑦ 요구를 잘 이해하는 습관 길러주기
2019.03.27
다 채우지 않고 코딩을 마쳤다. 물론 아이의 실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런 경우에는
옆
에서 바로잡아주기만 하면 됐다. 부모들이 많은 돈 들여 일대일 과외를 시키는 목적과 같다. 아이가 순식간에 끝낸 숙제. 시간 기다리기 등을 이용하여 말 주고받기 순서를 맞췄던 것을 신호를 사용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삶의 기로에서 길을 찾는 법
2019.02.23
내게 별다른 기쁨을 주지는 않지만 남들이 다 좋다고 하니까 추구하는 것들이 많을수록,
옆
사람이 더 좋은 걸 가지는 순간 내 것이 하찮아보이고 금새 불행해지는 늪에 빠지기 쉽다. 크리스토퍼 시 교수는 2차대전 이후 많은 나라들이 엄청난 부의 증대를 이뤘는데도 불구하고 행복도는 제자리인 ... ...
[Science토크]동남권 해상 단층은 ‘깜깜이’, 중급 지진 나도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북쪽 끝단을 찾아라” 경주지진 이후 발생한 여진을 종합한 그래픽. 양산단층보다 바로
옆
‘무명단층’에서 주로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활성단층으로 파악되고 있는 양산단층의 가지 단층이 어디까지 연결돼 있고 이 지역에 또다른 단층이 어떻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2019.02.09
꼭 100점을 받아야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채점 된 시험지를 받아서 마구 구겨버렸고,
옆
에 있던 친구의 놀란 표정이 아직 생생하게 떠오른다. 90점도 결코 낮은 점수가 아닌데도 그랬던 건 당시 부모님의 기대때문이었다.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에 올라가면서부터 이 세상은 오직 1등만 살아남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나왔다. 여기에는 스트렙토마이신을 발견한 과정이 소상히 적혀 있었다. 샤츠가 실험실
옆
에 있는 러거스트대 농장의 부식토에서 스트렙토마이신을 만드는 미생물 균주를 분리한 것이다. 그가 없었더라도 언젠가는 다른 연구원이 발견했을 수도 있겠지만 당시 여러 실험실에서 눈에 불을 켜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
2019.01.05
누군가가 “공부 좀 해!!”라고 하면 급 때려치고 싶어지는 것이 우리다. 또 매일 집
옆
에서 시끄럽게 공을 차는 아이들에게 어느 날 “500원을 줄 테니 공을 차렴”이라고 했더니 겨우 500원 받으려고 공을 차다니 미쳤냐며 공차기를 관두었다는 이야기처럼 뭐든 내가 원해서 한다면 기꺼이 하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반려동물과의 이별, 준비하셨나요
2018.12.08
사람들이 반려 동물과의 이별 후 여전히 강아지가 따라다니는 것 같아 자꾸 뒤를 보거나
옆
에서 강아지가 움직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데 이 또한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한다. 마음껏 슬퍼하기 미국 펜실베이니아 쿠츠타운대 브루스 샤킨 교수는 반려동물과의 이별은 사랑하는 사람과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오신 걸로 아는데 무슨 말씀 하셨나. ▶고=유 장관이 오셨다가신지 잘 몰랐다. ▶임=
옆
자리 앉았는데 상당히 감동하셔서 울컥하셨다. 굉장히 크게 감동하신 것처럼 느껴졌고. 오늘 발사 통제 위원들한테 격려말씀 해주실 때도 감동이었다 말씀 여러 번 하셨다. -연 인원 얼마나 투입했나. 발사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물론 UHD 영상은 단순히 해상도만 높인 게 아니라 화질의 다른 측면도 더 뛰어나다.
옆
의 색공간 그래프를 보면 UHD 영상이 구현할 수 있는 색공간이 HD 영상보다 꽤 넓음을 알 수 있다. 색공간에서 채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끝까지 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곡선이 단일 파장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수 있다. 아주 작은 곤충이 미세한 털이 배열된 날개로 날 수 있는 것도 같은 원리다.
옆
의 사진은 기생벌류인 요정파리(fairyfly)의 하나인 아레스콘(Arescon)속(屬) 곤충의 모습으로 날개가 마치 빗처럼 생겼다. 이런 구조는 막으로 된 날개보다 양력이 덜 나오겠지만, 날개 재료도 덜 들어가고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