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스페셜
"
역사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웹 망원경 첫 이미지 '감격적 경험', 분위기 띄우는 NASA
연합뉴스
l
2022.06.30
계획했던 것보다 배가 늘어난 20년간 가동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 20년간 우주
역사
와 시간에 더 깊이 들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우고 성장하며 새로운 관측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과학을 심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있다. 세계2차대전 이후 독일에서 만든 로켓기술을 이어받은 미국과 러시아, 일본 등이
역사
적으로 발사체 개발 분야에서 강국으로 꼽힌다. 이들은 이미 발사체를 가진 국가들끼리 동맹을 맺고 타국과는 관련 교류를 제한하고 있다. 일단 기술이 있어야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기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수질 오염과 물고기 집단 폐사
2022.06.22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이래 오늘날의 천왕성계를 이루기까지 이 거대한 얼음 행성과 그 위성들에는 어떤
역사
가 흘러갔을까.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천왕성의 고리. 인류는 보이저 2호의 관측으로 천왕성이 고리, 위성 등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미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시속 900km 강풍, 영하 224°C 얼음 세계 ... ...
별 데이터와 인공지능 합친 점성술은 과학일까
2022.06.18
자유롭게 여행하는 시기가 올 때까지도 이런 미신이 유지되고 있을까? 지금까지의
역사
로 봤을 때 어쩌면 정말 그렇게 될지도 모르겠다. ※필자소개 고호관. 과학과 SF에 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2015년 제2회 한낙원 과학소설상과 2019 SF어워드 중단편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 ...
태양계 끝자락 맴도는 천체 26개 발견...태양계 초기
역사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KMTNet 망원경으로 찍은 2022 GV6 관측 영상. RGB 합성을 위해 4분 노출로 촬영된 영상 30장이 사용됐다. 두 시간에 걸쳐 배경별 사이를 적-녹-청의 순서로 느리게 이동 ... 천문연 박사후연구원은 “2022 GV6처럼 공전주기가 특이한 천체들을 발견해 태양계
역사
의 비밀을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패권’ 대신 ‘진실과 자유’를 지향하는 과학기술
2022.06.08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3500년전 닭이 처음 인간에게 다가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7
닭의 출현 시기를 특정 지었다. 이와 동시에 뼈가 발견된 사회와 문화, 매장 위치와
역사
적 기록을 조사해 지역에 닭이 도입된 시기를 추정했다. 닭을 가축으로 여겼는지 아니면 단순 유입됐는지도 함께 살폈다. 분석 결과 닭이 처음으로 가축화한 것은 기원전 1500년경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 ...
7월12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우주카메라가 찍은 사진이 공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상상도. NASA 제공. 인류
역사
상 가장 규모가 크고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관측한 풀 컬러 이미지와 분광 데이터가 7월 12일(현지시간) 처음으로 공개된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7월 12일 제임스웹이 지구로 보내온 풀 컬러 관측 이미지와 분광 데이터를 처음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2022.06.02
위해서 전통적인 동료평가 방식을 거부하는 이는 장기적으로 과학에 위협이 된다. 또한
역사
적 사례들은 학술지나 학술대회가 아니라 대중과 언론을 통해 연구를 발표하고 포장하는 과학자와 의사 대부분이 결국 사기꾼으로 판명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연구결과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