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스페셜
"
여럿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뿌리를 찾다 Ⅱ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추정되는 대형 육식공룡이다. 티라노사우루스류 계통도에서 최근 새로운 종이
여럿
보고된 티라노사우루스과(Tyrannosauridae)를 클로즈업했다. 티라노사우류스과 공룡들은 후기 백악기에 번성했음을 알 수 있다. 박스 길이는 화석으로 추정한 존재 기간이고 박스 색은 살았던 대륙을 나타낸다.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문서의 복제였다. 문서를 배포하거나 오래 보관해두려면 정확하게 똑같은 내용의 문서를
여럿
만들 필요가 있었다. 복사기가 없던 과거에는 문서를 복제하려면 일일이 사람 손을 거쳐야 했다. 필경사(筆耕士)나 서기(書記)와 같은 전문직업군이 이 일을 담당했다.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대량으로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한 번 노출된 쥐와 대조군인 그렇지 않은 쥐에 주입했다. 그 결과 처음 독을 접한 쥐는
여럿
죽은 반면 한 번 노출돼 제2형 면역계가 활성화된 쥐는 살아남았다. 알레르기 반응으로 분비된 단백질분해효소가 포스포리파아제A2를 바로 파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아나필락시스라는 치명적인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자콥은 독립운동의 주요인사일뿐 아니라 인도네시아에서 호모 에렉투스의 화석을
여럿
발견한 저명한 고생물학자다. 앞서 언급한대로 자콥은 호빗이 이상소두증에 걸린 현생인류라고 주장했는데, 2004년 12월 자카르타의 국립고고학연구센터에 보관돼 있는 화석을 무단으로 가져가 3개월이나 ... ...
인간게놈이 양자컴퓨터를 만났을 때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가능성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이론물리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돼 왔고 알고리듬도
여럿
개발됐다. 문제는 이를 구현할 ‘실물’ 양자컴퓨터가 없었던 것. 따라서 양자계산은 튜링머신처럼 관념의 영역에 속했다. 양자계산의 원리를 잠깐 소개하면(물론 필자도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기존의 ... ...
폐경기 생긴 건 젊은 여자만 좋아하는 남자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삶에 있어서 또 하나의 전환기다. - 동아일보 DB 제공 사람은 동물 가운데 독특한 특성을
여럿
지니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여성의 폐경기다. 물론 몇몇 고래에서 폐경기가 있다는 보고가 있고 사육하는 침팬지에서도 관찰됐지만 포유류 대다수에서는 폐경기를 볼 수 없다. 보통 50대에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이르는 블록버스터가 됐다. 그리고 글리벡처럼 인산화효소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가
여럿
개발됐다. 저자 와프너는 책에서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이 강한 집념을 가진 소수의 노력으로 이뤄져 가는 과정을 실감있게 묘사하고 있다. 평소 개인의 노력은 시스템을 바꿀 수 없다는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
KOITA
l
2013.05.28
일어나는 일들을 한꺼번에 알기란 불가능하다. 결국, 결정권자는 믿을만한 사람
여럿
에게 관찰을 맡길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과거의 감시체계는 본질적으로 수사학의 문제, 정치의 문제였다. 결정권자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감시하는 사람이 믿을만한 사람인가, 그가 하는 말이 어디까지 ... ...
거품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즉 drop은 공 모양의 액체이고 bubble은 속이 빈 공 모양의 액체막이고 foam은 bubble이
여럿
모인 상태다. 그런데 우리말은 좀 애매하다. drop은 방울, foam은 거품인데 bubble은 방울이라고도 부르고 거품이라고도 부른다. 즉 우리말에서 거품은 ‘속이 빈 방울’이라는 뜻이 있어 비누거품을 비눗방울이라고 ... ...
[KAIST 명물] 한국에 푹~빠진 KAIST 공학도,데니스를 만나다!
KAIST
l
2013.05.08
가지 스트레스로 고통 받는 학생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친구들에게 혼자보다
여럿
이 함께 공부하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다수가 함께 어울리다 보면 친밀도도 높아지고 주위 사람을 챙기게 되면서 행복감이 높아지게 된다. 지금 내게도 힘들 때 옆에 있어주는 친구가 있어 얼마나 소중한지 ... ...
이전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