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스페셜
"
액체
"(으)로 총 445건 검색되었습니다.
밀가루 반죽처럼 만든 갈륨,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루오프 단장은 “이번 연구는
액체
갈륨과 여러 크기의 충전재를 혼합하면 상온에서
액체
상태의 합금을 쉽게 가공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CPU의 방열판, 전자파 차폐 소재, 의료용 임플란트 등 유연한 전자소자가 필요한 분야에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등 전 과정을 한국이 독자적으로 수행한 첫 발사체다. 항우연이 누리호에 들어갈 75t급
액체
엔진을 자체 개발하면서 한국은 중대형 엔진을 보유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꿈의 열차’로 불리는 하이퍼튜브 개발에 속도를 낸다. 철도연은 지난해 11월 진공에 가까운 0.00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날아오는 적외선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피처 우주망원경은 2009년 5월 15일
액체
헬륨을 모두 소진했다. 망원경의 온도가 올라갔고, 장파장을 탐지하는 적외선 분광기와 다중밴드 이미지 광도계의 감도가 0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단파장을 탐지하는 적외선 배열 카메라 두 대가 아직 감도를 ... ...
[국가우주위] 내년 10월 발사 앞둔 누리호 종합연소시험 등 마지막 굵직한 과정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지상시험) 실시를 결정하면서 2개월이 또 늘었다. WDR은 발사체 엔진 점화 전까지 산화제(
액체
산소)를 충전하고 배출하는 등 발사의 모든 과정을 시험하는 리허설이다. 항우연은 2018년 75t급 엔진 한기를 단 시험발사체 발사 당시 WDR을 진행해 시스템 오류와 추진기관의 부품 누설 등을 사전에 ... ...
[랩큐멘터리] 4세대 가속기, 물질의 근본 원리를 찾는 탐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두 가지 상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다. 과냉각수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4세대 가속기로 이 순간을 포착해 분석할 수 있었다. 4세대 가속기는 전 세계 학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 자연스럽게 교류할 수 ... ...
코로나19 바이러스 어디서 잘 살아남을까
2020.12.18
활성화 정도를 비교했다. 습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같은 조건에서 바이러스가
액체
용액에 담겨 있을 때는 어떻게 되는지도 실험했다. 연구팀은 실제 바이러스 대신 감염을 일으키는 리보핵산(RNA)을 제거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사체를 사용해서 실험 중 감염의 위험을 줄였고, 자외선에 ... ...
[랩큐멘터리]아주 짧은 시간 누구도 본적 없는 현상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
로 상이 변할 때는 표면이 녹아 동그래진 후 퍼지다가 형태를 잃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고체를 빠르게 녹이면서 짧은 순간에 일어나는 현상을 살펴보면 퍼지기 전 형태를 다시 갖추는 ‘역 상변화’ 현상이 일어난다. ... ...
하수도 침전물로 코로나19 전파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가라앉으면서 오니와 같은 침전물이 생겨난다. 실제로 폐수 내 고체 성분과 폐수의
액체
성분 속 코로나바이러스 RNA 양을 분석한 결과 고체에서 최대 1000배가량 높은 농도가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올해 3월부터 7월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와 산타클라라 지역의 폐수 시설 10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연구하고 있다. 공기 중 수분을 전기로 압축해
액체
로 만드는 제습기는 기체 상태의 물이
액체
가 될 때 나오는 열을 바깥으로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MOF를 활용한 흡착식 냉난방 시스템의 원리를 응용하면 전기 없이 낮은 열을 이용하고 뜨겁지 않은 바람을 배출한다. 그 앞에 간단한 온도 ... ...
소형발사체기업 '로켓랩' 1단 로켓 귀환 착수 실험 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수 있을 것”이라고 도전 이유를 밝혔다. 일렉트론은 길이 17m, 지름 1.2m에 무게 12t의 2단
액체
엔진 발사체로 200~300kg의 탑재체를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로켓랩은 발사 때마다 재미있는 임무명을 부여하는데, 이번 임무명은 ‘발송인에게로의 귀환(Return to sender)’이었다. 발사 초기 고도 상승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