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스페셜
"
단일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3명 中 지역발생 3명 87일만에 최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나온 환자수가 565만 명을 돌파했다. 특히 미국의 누적 코로나19 환자수는 481만 명으로
단일
국가로는 가장 많은 수를 나타냈다. 전세계 환자 가운데 4분의 1이 미국에서 나온 셈이다. 여기에 273만 명의 환자를 내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많은 환자를 발생시킨 브라질 등 남미 국가의 환자 424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deaminase)다. 2016년 리우 교수가 염기편집에 썼던 효소도 시티딘 디아미네이즈였지만 DNA
단일
가닥에서 작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리우 교수는 이 차이에 주목했고 부르콜데리아의 효소가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에 쓰일 수 있음을 깨달았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발전소로 유기분자를 산화시켜 ... ...
코로나 치료제 평가해보니…렘데시비르·덱사메타손 '선두'
연합뉴스
l
2020.07.17
9 완치자 혈액 속 항체를 분석해 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항체를 선별해 사용하는
단일
클론항체 치료법, 인체 내에서 바이러스 감염과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인 인터페론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주입하는 치료법 등 모든 치료법이 '잠정적 치료법'으로 분류됐다. 덱사메타손 엠플. [로이터 ... ...
인공지능 기반 공정 최적화 연구로 금형 주조 불량률 절반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황호영 박사를 만났다. 황 박사와 오 대표는 2018년 동양다이캐스팅이 생산하는
단일
품목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던 ‘ECU 케이스’라는 부품의 불량률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이 부품은 자동차 전장의 ‘브레인’에 해당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전자제어장치)에 들어간다. 마치 다리가 ... ...
NYT도 피하지 못한 코로나19 과장보도 "섣부른 결론 대신 맥락·한계 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ICTRP)에 등록된 전세계 임상시험 1327건 중 273건이 항말라리아제로
단일
분야로는 가장 많다. (관련 기사 : '그들' 한 마디에 검증 안 된 치료제 구매 검색량 52배 치솟았다) 하지만 효과가 없다는 연구가 잇따랐고 FDA는 긴급사용승인을 철회했다. NIH도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임상시험을 중단했다. ... ...
중증 코로나19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이들의 특징을 ‘
단일
세포 유전자 발현 분석(scRNA-seq)’ 기술을 이용해 하나씩 분석했다.
단일
세포 유전자 발현 분석 기술은 1개의 세포를 분리해 그 안에 극미량 존재하는 ‘전사체’를 증폭해 수를 늘려 차세대 염기서열해독기술로 양을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전사체는 세포가 단백질을 만들 ... ...
[의학게시판]삼성서울병원, 국제표준 개인정보보호 인증 획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다빈치 SP 로봇수술은 이전의 로봇수술과 달리 하나의 구멍을 통해 수술이 가능한
단일
공 수술을 뜻한다. 세브란스 병원은 2018년 10월 국내 처음으로 다빈치 SP 로봇수술을 진행했고, 지난해 2월 세계 최초로 100례를 달성했다. 1000례를 살펴보면 이비인후과가 39%로 가장 많았고, 갑상선내분비외과가 29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특별한 파장대의 전자기파가 우리가 흔히 부르는 가시광선으로서의 빛이다. 가시광선은
단일
한 파장의 전자기파가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의 집합체이다. 붉은색의 파장이 길고 푸른색, 보라색이 짧다. 보라색 바깥의 더 짧은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자외선이라 하고 붉은색 바깥의 더 긴 ...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07.04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 1984년
단일
클론항체를 만들다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면역세포 탐구한 수상자들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2011년 선천 면역과 ... ...
별 핵합성 규명·신경모방 소자 개발 등 개인연구자 17명에 각각 72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주영석 KAIST 교수가 선정됐다. 공학 분야에서는 뉴로모픽 감각 시스템을 위한 입체
단일
칩을 개발 중인 황철성 서울대 교수(맨 위 사진 왼쪽), 에너지 전달 현상을 연구한 박형규 포스텍 교수,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기술을 연구한 박호석 성균관대 교수가 선정됐다. ICT 융합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