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컴 초전도 큐비트 최장 시간 안정 유지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에서 결맞음 시간 유지 기록을 경신하고 연구결과를 8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최대 1밀리초(ms, 1밀리초는 1000분의 1초)와 중간값 약 0.5ms를 기록해 처음으로 1ms 장벽을 넘었다. 직전에 보고된 결맞음 시간 최고 기록은 최대 약 0.6ms, ... ...
세포핵 영상 AI가 판독해 실시간 노화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않는 세포를 추적하기 위해 AI 기반의 영상 분석 기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7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연구팀은 더 이상 분열하지 않고 DNA 손상 관련 특정 분자 신호를 방출하는 세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축적되는 노화세포의 핵 ... ...
[과기원NOW] 나노치료제로 칸디다증 치료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왼쪽부터) 정주연 KAIST 석박사통합과정생, 정현정 교수, 양승주·박아영 석박사통합과정생. (오른쪽 상단 왼쪽부터) 홍윤경 서울아산병원 박사, ... 생산 속도가 향상됐고 연속 작동에도 성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에 실렸다 ... ...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익룡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Park)에서 2011년 발굴된 턱뼈 화석을 첨단 스캔 기술로 분석한 결과를 7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
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익룡 종임을 확인했다"며 "고대 생태계의 진화적 전환기를 보여주는 귀중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 ...
"NSF 지원 美 신진연구자, 내년 78% 급감할 것"…트럼프 연구비 삭감 '악몽'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잇달아 보고되면서 이런 우려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연구 예산 삭감 여파로 해외 유학생이나 연구자뿐만 아니라 미국 내 신진 연구자들마저 자리를 잃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 ...
"쉬는 거 아닙니다"…물속에서 호버링하는 물고기, 에너지 2배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있을 때보다 에너지를 약 2배 쓴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 호버링(Hovering)은 위치를 유지하며 제자리에서 비행하는 것을 말한다. 지상에서는 벌새와 잠자리 등이 호버링하는 대표적인 동물이다. 물고기는 부레를 활용해 정지 ... ...
류마티스 등 자가면역질환자 희소식…자연살해세포 치료 기대감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열린 유럽류마티스학회에서 발표됐고 또 다른 임상시험은 지난달 24일 국제
학술
지 ‘셀’에 발표됐다. 두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NK세포는 자가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사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가항체는 면역체계가 외부 침입자가 아닌 자신의 몸을 공격하도록 만드는 물질이다. 자가항체는 ... ...
“얼음 속에서 광물이 자란다”…결빙 중 화학 반응 첫 실험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식품 보존 기술 등 다양한 응용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과학원회보(PNAS)'에 5월 게재됐다. - doi.org/10.1073/pnas.242182212 ... ...
메타버스 세계에서 잔잔한 물결까지 감지하는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수 있는 고성능 피부부착형 진동 햅틱(촉각) 패치 소자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25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기존 웨어러블 햅틱 장치는 딱딱하거나 유연성이 떨어지는 소재 때문에 피부에 밀착되거나 정밀한 촉감을 전달하기 어려웠다. 신체의 ... ...
빛과 전자 초고속 상호작용 첫 확인…대면적 광전자 소자 개발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관찰하고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6월 2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됐다. 광전자 소자는 고체 내에서 빛과 전자의 상호작용을 이용한다. 빛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거나 전기로 빛을 만들어 광통신, 광이미징 등 첨단 광기술에 필수적인 소자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