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
조회
참작
문의
언급
고려
감안
뉴스
"
참조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특이질환 찾아 낼 ‘표준 유전자 지도’ 나왔다
2016.11.24
울산과학기술원(UNIST) 게놈연구소장(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
참조
표준센터와 공동으로 한국인 표준 게놈지도 ‘코레프(KOREF)’를 완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4일자에 발표했다. 박 소장은 “한국인은 오랜 기간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삶과 업적에 대해서는 과학카페 280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참조
.) 메치니코프는 노벨상까지 받은 저명한 과학자이지만 신문에 글도 많이 기고하고 대중과학서적도 여러 권 냈다. 그 가운데 대표작이 1908년 출간한 ‘수명 연장’으로 2년 뒤 영어판이 나왔다. 읽어보니 글 솜씨가 ... ...
팔라우의 ‘니모’는 힘든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까?
2016.11.09
또는 말미잘(sea anemone)과 함께 살기때문에 ‘아네모네피시’로도 불린다(네이버캐스트
참조
) . 이 녀석의 이름이 니모가 된 것은 세계적으로 흥행을 한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의 주인공으로 이름 때문이다. 때문에 팔라우를 찾는 아마추어 다이버들도 흰동가리를 그냥 ‘니모’라고 ... ...
MRI 사진만 보면 뇌졸중 치료효과 한 눈에 안다
2016.11.08
치료효과를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 국가
참조
표준센터는 사람의 뇌 자기공명영상(MRI) 영상을 분석하면, 추후 뇌경색이 발병했을 때 회복 정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8일 밝혔다. 치료 예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치료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난다. (이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45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참조
) 그런데 얼마 뒤 우연히 당시 연구를 이끈 울산과기대 박종화 교수와 통화를 하게 됐다. “그런데 왜 표범은 안 하셨죠?” “시료를 구하지 못해서...” 약간 뜻밖의 대답을 듣고 ‘동물원의 표범들은 다 ... ...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구글이 ‘팩트’를 검증하는 방법
2016.10.19
있어야 한다. -둘째, 팩트 분석에 있어서 반드시 그 출처와 방법이 투명해야 하며, 인용과
참조
한 출처는 반드시 신빙성이 있어야 한다. -셋째, 팩트를 검증하는 곳은 비정파적이어야 하며, 후원 단체와 자금 출처가 투명해야 한다. 특정 개인 혹은 개체만을 타깃으로 검증하기보다는 관련된 주제 영역 ... ...
단풍놀이 간 산에 낙엽만 수북…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10.02
쌓이면, 기온 자료만으로도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과학동아 2015년 4월호
참조
). 웨더아이는 개화 예보를 할 때 회귀 모델뿐만 아니라 기상청에서 개발한 생물계절모형도 함께 이용해 정확성을 높인다. 하지만 단풍은 생물계절모형이 없다.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개화에 비해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01
경보하는 성능을 보였다(과학동아 2015년 6월호 기사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참조
). 지진이 발생한 지 9분이 지나도록 긴급재난문자를 보내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는 국민안전처도 실은 2020년까지 경보 시간을 10초 이내로 단축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국가재난안전통신망과 국민들의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완전히 새로운 그림이 그려졌다. 새로운 종 분류에 따르면 린네가 학명을 정할 때
참조
한 아종(누비아기린)이 포함된 북부기린이 기존 학명을 물려받았다(Giraffa camelopardalis). 북부기린은 세 아종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두 아종으로 이뤄진 남부기린(G. giraffa)이다. 나머지 두 종은 망상기린(G. ... ...
[경주지진]한반도에 60여개 있다는 ‘활성단층’, 뭘까요?
2016.09.13
잡아당기는 힘 또는 미는 힘으로 인해서 땅이 쪼개져 어긋난 곳이죠. (☞두산백과
참조
) 단층이 있다는 것은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활성단층은 지진이 일어났던 흔적을 담은 단층을 말합니다. 학계에서는 단층 조사에서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