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단위"(으)로 총 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염기 하나 콕 집어 바꾼다…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새 기능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9.09.24
- IBS 유전체교정연구단과 한양대 공동 연구팀이 새롭게 밝혀낸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의 기능. 시토신이 두 번 이상 반복하는 서열에서 가운데에 있는 시토신을 치환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DNA의 염기 중 하나를 바꿀 수 있는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의 ... ...
- 유전자 발현 억제하는 마이크로RNA의 표적 예측 방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9.23
- 남진우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왼쪽)와 황정욱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오른쪽) 공동연구팀이 마이크로RNA가 유전자를 조절하는 새로운 과정을 밝혀내, 마이크로RNA가 분해하는 표적 유전자를 훨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남진우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2019.08.21
- 매년 산란계 병아리 140억 마리가 감별을 통해 절반(암컷)은 양계장으로 가고 나머지 절반(수컷)은 바로 죽임을 당한다. 최근 달걀감별 기술이 개발되면서 머지않아 병아리감별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지도 모른다.eggXYt 유튜브 캡쳐 "우리가 동물에 대한 기계론적 견해를 갖고 있는 동안은 윤리에 ... ...
- 유전자 시너지 결과 알 수 있는 '유전자 상호작용 지도'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8.12
- 사람의 유전자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는 '유전자 상호작용 지도'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사람 세포에는 유전자가 약 2만5000개씩 들어 있다. 유전자들은 키와 얼굴 생김새, 성격, 생리학적 특성(체질), 특정 질환 발생 가능성 등 '표현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표현형은 하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2019.08.06
- 침 속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큰 사람들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순간부터 급격하게 녹말이 분해된다. 이는 음식이 더 맛있게 느껴지고 많이 먹는데 영향을 미친다. 게티이미지뱅크 초중고에서 대학까지 그 많은 수업을 들었음에도 특별히 기억에 남는 장면이 없다. 지적인 깨달 ... ...
- [표지로 읽는 과학] DNA 삽입 효율 한층 높아진 유전자 교정기술동아사이언스 l2019.07.07
-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5일 초록색 과녁에 DNA를 닮은 화살이 정확히 정중앙에 꽂히는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최첨단 유전자 교정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를 이용해 DNA를 수정하는 모습을 묘사했다. 크리스퍼는 박테리아와 고세균과 같은 원핵생물 유기체의 게놈 ... ...
- 천식 발생과정 밝히는 ‘폐세포 지도’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4
- 네이처 메디신 제공 천식이 일어나는 과정을 세포 단위에서 밝히고 신약 개발에 도움을 줄 ‘인간 폐세포 지도’가 처음으로 작성됐다. 콧속과 기관지, 폐에 이르는 호흡기 전체 세포들을 영역별로 각각 역할과 신호물질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온 건 처음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웰컴생 ... ...
- 실시간 감염병 감시기술로 '제2 메르스 사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2019.06.21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은 대학과 연구기관, 병원 등 여러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신종 또는 변종 바이러스와 슈퍼박테리아, 바이오 독소 등을 모니터링하고 조기검출, 진단할 수 있는 헬스가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남윤중 제공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전 세계 ... ...
- 폐질환 원인 찾을 길잡이 ‘인간 폐세포 지도’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8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럽 과학자들이 최초로 인간의 ‘폐세포 지도’를 개발해 공개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웰컴생어연구소와 네덜란드 그로닝겐대 의료센터, 독일 뮌헨 폐질환연구센터 등 공동연구진은 건강한 사람 17명과 천식 환자 6명의 호흡기관을 이루는 세포들을 개별적, 영역별로 분 ... ...
- 진화와 종 분화의 실마리, 새 예쁜꼬마선충 게놈에서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5.24
- 예쁜꼬마선충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작고 둥근 알과 작은 유충, 그리고 긴 성체가 보인다. 사진제공 프랑스고등사범학교 한 종의 생물이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채 오랜 시간이 흐르면, 유전적으로 점점 달라져 어느 순간 다른 종으로 분화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자연계에서 지금도 끊임없이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