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명
목숨
장수
명
만수무강
수
수단
뉴스
"
수명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DNA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10
널리 쓰이는 저장 장치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의
수명
은 길어야 수십 년 정도입니다. 또 전기에너지를 계속 공급받지 않으면 정보가 사라지거나 변형될 위험이 있는 전자 저장 장치와 달리 DNA는 별다른 연결 없이 상온에서 보관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에너지도 ... ...
심우주탐사용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우리 기술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우주에서 최대 수만 시간 이상 작동해야 하는 전기추력기 개발을 위해서는 성능과
수명
검증이 필수적이다.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생성을 위해 1억분의 1기압 이하의 진공 환경 생성, 저온과 고온을 빠르게 변경하기 위한 온도 조절 및 플라즈마 진단이 가능한 특수 시험 장비가 필요하다. ... ...
"기대
수명
가장 긴 반려견은…휘핏처럼 작고 코가 긴 품종"
연합뉴스
l
2024.02.02
또 순종견의 기대
수명
중간값이 12.7년으로 교배종(12.0년)보다 길었고 암컷의 기대
수명
중앙값이 12.7년으로 수컷(12.4년)보다 약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가 사람들이 반려견 가운데 조기 사망 위험이 높은 개를 식별하고, 반려견 소유자나 정책입안자, 복지단체 등이 반려견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을 향상하는 전해질을 개발한 연구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곽원진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최준명 한양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공동으로 유기 전극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획기적으로 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 ...
英 핵융합 실험장치 'JET'40년 만에 해체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영국 옥스퍼드 인근 핵융합 연구장치 '제트'의 내부. 유로퓨전 제공. 세계 최대 규모의 핵융합 연구장치로 가동됐던 영국의 ‘제트(JET)’ ... 제트를 감독하는 롭 버킹엄 영국원자력청(UKAEA) 폐로 책임자는 “핵융합 장치의 전체
수명
주기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전력 덜 쓰는 반도체 나올까…금속서 '극성'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22
분극과 극성을 유도할 수 있다면 반도체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자기기 내장 배터리의
수명
을 연장할 수 있다. 현재 기술로는 금속 내 분극과 극성 구현이 어렵다. 금속 내부에 있는 ‘자유전자’는 이동이 자유로워 전자가 특정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분극이나 극성 상태를 형성하기 어렵다. ... ...
최고 기술 보유하고도 해외기업과 상용화 연구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이태우 교수 연구팀은 최근에도 괄목할 만한 연구성과를 냈다. 기존 소재의
수명
보다 3108배 향상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를 개발한 연구 결과를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서로 다른 특성의 소자를 결합하는 탠덤 구조를 활용해 최초로 발광소자를 ... ...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OLED 효율 장점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구동
수명
은 동일 휘도 기준 1.8시간인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탠덤 소자의 구동
수명
은 5596시간으로 약 3108배 향상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면적이 크고 유연한 발광 소자 제작에도 성공했다. 향후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재 상용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 ...
항생제 없이 피부 상처 치료 2배 빠르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15일 밝혔다. 항생제는 세균, 박테리아 감염을 예방·치료하는 약으로 인간의
수명
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하지만 연고 형태의 국소항생제를 쉽게 구매할 수 있어 오남용 우려가 있다. 항생제의 과도한 사용은 항생제 내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면 ... ...
덜 먹는 습관, 뇌 건강도 지켜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확인했다"며 "덜 먹는 습관은 단백질이 적절하게 분류되는 메커니즘의 효율을 높여
수명
연장에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OXR1 유전자를 바탕으로 뇌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특정한 화합물을 확인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