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설계도"(으)로 총 4,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음성 지시 따라 수술…돼지 담낭 제거한 로봇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로봇이 사람의 음성으로 지시를 받으며 담낭 제거 수술을 수행하고 있다. Credit Ji Woong (Brian) Kim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지시에 따라 여러 단계의 수술을 스스로 수행하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다. 로봇은 돼지의 담낭을 제거하는 복강경 수술에서 외과의사의 개입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수술 전 과정 ... ...
- "한국 우주개발 전략, 제조업·모빌리티 분야 강점 살려야" 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전 캐나다 우주인 로버트 브렌트 서스크 씨가 11일 인터뷰에서 대답을 하고 있다. 정지영 기자. "우주 개발은 단일 국가가 완수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한국은 제조업, 로보틱스, 모빌리티 등 첨단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우주 협력에서 매력적인 국가입니다." 올해 한국에서 최초로 열리는 국제 ... ...
- AI와 그래핀 결합한 전자 혀, 짠맛·단맛·쓴맛 모두 구분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그래핀 유래 물질과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을 결합한 전자 미각 센서가 짠맛, 단맛, 쓴맛, 신맛을 사람처럼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혓바닥.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그래핀 유래 물질과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을 결합한 전자 미각 센서가 짠맛, 단맛, 쓴맛, 신맛을 사람처럼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 ...
- 질문이 깊어지면 탐구가 시작된다…'과학동아AiR'로 탐구·발명·논문 작성 도전한 학생들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탐구활동 AI 솔루션 '과학동아AiR'를 활용해 각각 탐구, 발명, 소논문 작성으로 과학 탐구 역량을 키워 나가고 있는 구민준(정덕초 4학년), 최우진(시흥은행중 1학년), 이주안(덜위치칼리지서울영국학교 12학년) 학생들. 동아사이언스 제공 "어떻게 죽음과 살아있음이 공존하는 슈뢰딩거 고양이 사고실 ... ...
- 이노스페이스, '한빛-나노' 상단부 단인증시험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이노스페이스 ‘한빛-나노’ 발사체 2단 액체메탄 로켓엔진. 이노스페이스 제공 우주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는 9일 자체 시험시설인 전남 고흥군 고흥종합시험장에서 수행한 발사체 '한빛-나노'의 상단부 엔진 단인증시험(종합연소시험)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민간기업이 국내 발사체 기술 ... ...
- "대기오염 입자 줄어들면 폭염·습도 위험 더 커져"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왼쪽부터 광주과학기술원(GIST) 윤진호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박진아 박사과정생. GIST 제공 공기 중 미세입자(에어로졸)가 햇빛을 반사해 지표면을 냉각시키고 상대습도를 높이는 현상이 확인됐다. 에어로졸이 줄어들면 이러한 지표면 냉각과 습도 상승의 완충 작용이 사라지면서 오히려 열 스트 ... ...
- "NASA 제트추진연구소처럼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단 핵심 인력 키우겠다"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최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만난 최성임 GIST 기계공학부 교수. GIST 제공 "미래우주항공 연구센터(G-STAR 센터)를 전남 지역의 우주 전문인력 양성 거점으로 육성하겠습니다. 배출한 인력은 전남 고흥에 들어서는 우주발사체 국가산단의 핵심 인재가 될 것입니다." 최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 ...
- 과기연전노조 "R&D 예타 폐지 법안 상임위 통과 환영…제도 설계 잘 해야"동아사이언스 l2025.07.09
- 국내 외국인 박사 졸업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동양인 연구자가 실험도구를 들여다보는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국과학기술연구전문노동조합(과기연전노조)이 9일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예타) 폐지 법안의 국회 상임위원회 통과를 환영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R&D 예 ... ...
- 파킨슨병 조기 진단, 예후 예측 가능한 '생성형 AI 모델'동아사이언스 l2025.07.09
- 왼쪽부터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 이유진 연구원, 정선주 신경과 교수. 서울아산병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을 뇌 영상만으로 조기 진단하고 향후 질병 진행 양상을 예측해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단순 판별을 넘어 ‘예후 예측 영상’까지 ... ...
- 양자컴 초전도 큐비트 최장 시간 안정 유지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5.07.08
- 결맞음 시간이 긴 초전도 방식(트랜스몬) 큐비트로 만든 양자프로세서를 표현한 그림. Alexandr Kakinen 제공 미래 전략기술로 주목받는 양자컴퓨터를 상용화하려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인 큐비트(qubit)의 수를 늘려야 한다. 동시에 각 큐비트가 양자상태를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하도록 해야 한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