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5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반려돼지, 주인에 대한 '애착행동' 안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애착행동을 갖는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했다. 동물들을 주인과
분리
한 뒤 낯선 사람과의 만남에 노출시켰다. 만일 주인에게 애착행동을 보인다면 낯선 사람과 조우한 시점에 특정한 행동을 보일 것이라 추정했다. 분석결과 개에서는 애착행동이 포착됐지만 돼지에게선 포착되지 ... ...
다이어트약 부작용 '메스꺼움' 없앨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실험을 통해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뇌 회로와 포만감을 형성하도록 돕는 뇌 회로가
분리
돼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AP는 건드리지 않고 NTS만 자극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다면 메스꺼움 없이 체중을 줄일 수 있는 약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부작용을 ... ...
차세대디스플레이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LED' 불안정성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주변 할라이드 이온이 연쇄적으로 이동하고 이때 청색을 내야 할 이온이 녹색을 내는 '상
분리
현상'이 나타나 청색 LED가 녹색으로 발광하는 문제가 생긴다. 연구팀은 술폰산염(Sulfonate) 물질을 활용해 할라이드 공석을 막고 이온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그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진청색 ... ...
[과기원NOW] GIST, 양자 접근법으로 '차량 경로 최적화' 전략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국제 음향 장면 및 이벤트 탐지 분류 경진대회에서 ‘언어질의 기반 오디오 소스
분리
’ 부문 1위와 ‘실내 음향 이벤트 탐지’ 부문 3위를 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108개 유수 기관 및 대학이 참가해 10개 분야에서 경쟁을 펼쳤다. 김 교수팀의 이번 수상 성과는 GIST 연구실,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이르는 ‘L’자형 진공터널인 ‘라이고’를 이용했다. 같은 광원에서 나온 레이저를
분리
시켜 다른 방향으로 보낸 후 다시 거울로 반사시키고 한곳으로 모아 간섭을 일으켜 미세한 파동의 변화를 감지하는 ‘레이저 간섭계’ 원리가 적용됐다. 라이고는 10헤르츠(Hz)에서 1000Hz 주파수 사이 중력파만 ... ...
잇따른 화재 유발…폭발 없는 리튬 전지는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먼저 가장 문제가 되는
분리
막 손상을 막기 위해 기계적 강도가 큰 세라믹 입자를 코팅해
분리
막의 안정성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해액을 난연성·불연성 물질로 바꾸거나 끓는점이 높은 용매를 써 전지 내부 증기 발생을 줄이는 시도도 있다. 폭발 위험이 거의 없는 고체 전해질을 ... ...
달 뒷면엔 무엇이?...우주자원 개발 경쟁 심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한다고 주장한다. 김 센터장은 "자원을 채굴하더라도 이 자원이 어떤 물질이고, 어떻게
분리
해서 활용할 수 있는지 등 우주 자원 물질을 이해하지 못하면 우주 자원 개발을 할 수 없다"면서 "우주 자원 개발 시대에 한국만 할 수 있는 경쟁력이 무엇인지를 찾고 몰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최후의 매머드 멸종, 근친번식 탓 아냐"...기존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고생물 유전학센터 연구팀은 매머드 마지막 개체군에 해당하는 무리가 특정한 섬에
분리
돼 6000년 동안 유전적 다양성이 매우 느린 속도로 감소했다는 분석결과를 2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상에 존재했던 마지막 매머드는 ... ...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염기로 수정할 수 있다. DNA 염기를 잘라내는 과정과 새로운 염기로 교정하는 과정이
분리
돼 있다. 패트릭 쉬 미국 아크 연구소 공동창업자 겸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미국 스탠퍼드대, 일본 도쿄대와 협력 연구를 통해 특정 DNA 염기를 잘라내지 않고도 긴 ... ...
배아줄기세포 유래 도파민 신경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뒤 4~5일밖에 지나지 않은 초기의 생명 단계인 '배아'에서 유래했다. 배아의 세포덩어리를
분리
해 배양하면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해 도파민 신경세포를 만들었다. 이번 임상 연구 대상은 파킨슨병 진단 후 5년 이상 경과한 환자다. 항파킨슨 약물치료를 받고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