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뉴스
"
변이
"(으)로 총 2,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폐 동반 뇌전증, 새 원인과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6.28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김은준 단장은 “ANK2 유전자의 돌연
변이
가 신경세포의 흥분도를 증가시켜 자폐 관련 뇌전증 증상을 유발하는 것을 밝혔다”며 “자폐 관련 뇌전증의 기전과 치료 가능성을 밝힌 의미 있는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식량위기 해결할 '고성능 작물품종' 연구장 된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3.06.26
“리조비아균이 콩에게서 질소를 영양분으로 전환하는 자세한 원리와 유전적
변이
조건이 규명되면 다른 농산물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특히 리조비아가 질소를 영양분으로 전환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와 미세먼지(PM.25)를 ... ...
병원균 방어하는 식물...유전적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2
DNA 메틸화와 식물의 병 저항성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DNA 메틸화와 관련된
변이
를 가진 식물들을 조사해 병 저항성을 측정했다. 이 연구에서는 'DDM1(Decrease in DNA methylation 1)' 단백질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식물들이 활용됐다. 연구 결과 DDM1 단백질이 기능하지 않는 식물들은 DNA ... ...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23.06.10
연구에서 다른 종으로 분류했던 것들이 사실은 한 종 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이
에 포함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석주명은 이 분석을 120여 편의 논문으로 정리해 일본과 조선의 전문 학술지에 발표했고 기존 연구에서 새로 제안한 학명 가운데 무려 844개가 동종이명(同種異名・synonym)으로 밝혀져 ... ...
"中, 6개월마다 코로나19 감염 수백만 명씩 나올 듯"
동아사이언스
l
2023.06.08
중국 베이징대 면역학 연구원은 “12월 대규모 감염 사태와는 달리 앞으로는 어떤
변이
에 면역력을 갖고 있는지 차이로 인해 몇 개월에 걸쳐 대유행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
5년 새 30% 증가 유방암 환자…“1기 완치율 98%, 조기 진단시 생존율 급상승”
동아사이언스
l
2023.06.01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복용을 중단하면 위험성이 사라진다. 유방암 유발성 유전자(BRCA)
변이
로 선천적으로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타목시펜이나 랄록시펜과 같은 약제를 투여하거나 안젤리나 졸리처럼 예방적 유방절제술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
코로나19 초기접종 2가 백신 1회 접종으로 단축
동아사이언스
l
2023.05.30
하다가 6월 중 도입되는 즉시 전환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현재 유행하는
변이
에 효과가 높은 백신으로 접종 백신을 단순화하고 국민의 접종 참여를 높이기 위해 접종 횟수를 축소했다"며 "기초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 치매 20~30년 늦추는 유전
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개발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쥐 실험을 통해 유전자
변이
로 만들어진 릴린 단백질을 투여해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 ...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질병연구 획기적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3.05.11
추가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범유전체 참조 지도에서는 유전체 구조 변화로 발생하는 구조
변이
수가 단일 유전체 참조 지도(GRCh38)보다 104%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작성된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에는 인간 유전체 내 유전적 다양성이 더 완전하게 반영돼 있다는 설명이다. NHGRI는 202 ... ...
항생제 필요없는 송아지 나올까...유전자교정으로 면역력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5.11
앞서 축산업계는 1960년대부터 소에게 이 질병에 대한 백신을 접종해왔지만 바이러스
변이
가 계속해서 발생하면서 큰 효과를 보진 못했다. 소의 분변으로 오염된 사료에 의해 감염되는 이 질병은 소에게서 궤양과 설사, 호흡기 증상을 유발한다. 심할 경우 폐사한다. 전염성도 높아 축산업계에선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