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체
조명
광야
벌판
황야
발광물
빛
뉴스
"
광원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속기 핵심장치 ‘방사선 발생장치’ 국내기술로 개발
2014.10.01
“보안 검색 등에 쓰이는 자유 전자레이저나 차세대 반도체 생산용 리소그래피
광원
등을 개발할 때도 이용할 수 있는 등 활용 범위가 넓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가속기 분야 국제저널인 ‘가속기와 빔 분야 물리학 리뷰지(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 on Accelerators & Beams)’ 8월호에 실렸다.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국내 연구진이 유리와 같은 부도체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기술을 이용해 차세대 조명과
광원
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찾았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유리 투명전극 기술을 발광다이오드(LED)에 적용하는 데 성공하고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 ...
최첨단 식물 공장, KIST 강릉분원을 가다
과학동아
l
2014.06.29
분석할 수 있게끔 했다. 노 박사는 “작물이 뿜어내는 각종 물질을 분석하거나
광원
을 쪼이는 방법을 달리 하는 방식으로 천연물 함량의 극대화를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초고속 천연물 탐색 시스템(iHTac)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로봇팔이 매일 천연물 시료 5000개 분석 ... ...
X-선으로 나노세계 손바닥 보듯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따라 연구자들은 나노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와 분자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X-선
광원
'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덕분에 X-선의 강한 투과성과 짧은 파장을 활용해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내 단백질을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는 기술도 조만간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짧은 스침과 긴 여운, 아이손의 근일점 통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12.05
삐죽 고개를 내밀고 있었다. 그런데 혜성의 핵이나 코마에 해당하는 밝고 작은 점
광원
이 보이지 않았다. 사람들은 조심스럽게 아이손 혜성의 핵이 붕괴했고 그 수명이 다했을 것이라고 추정하기 시작했다. 라스코가 전해온 아이손 혜성의 사진을 보면, 마치 아이손 혜성이 살아 있는 것 같기도 했다. ... ...
초고속 光컴퓨터? ‘나노레이저’가 해답
동아사이언스
l
2013.12.03
전기 대신 광섬유와 광신호로 작동하는 광컴퓨터의 집적회로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저전력
광원
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19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 ...
값싸고 효율 높은 OLED 제작 원천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익 ETRI OLED연구실장은 “이번 연구성과는 소재·부품에서
광원
-조명 기구에 이르는 전 주기적인 기술개발을 이뤄낸 것으로 차세대 조명 시장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논밭에 가지 않아도 농사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입을 대신해 작물의 맛을 분석한다. 자외선에서 적외선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광원
을 잎에 쏜 후 빛이 튀어 오르는 길이와 시간, 반응에 따라 안에 들어있는 성분을 분석한다. 특히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같이 항산화 물질 함량이 높은 작물을 빠르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 때문에 ... ...
왕년의
광원
들, 정유공장서 석탄 200t을 캐다
동아일보
l
2013.08.07
올해 제거한 석탄(해탄·骸炭)의 양은 자그마치 200t에 달했다. 이 때문에 TA 작업에 전직
광원
들이 상당수 투입되기도 했다. 평소 기름이 차있는 시설 내부에 에어컨이 있을 리 만무하다. 30도가 훌쩍 넘는 기온에 수백 명 체온까지 합쳐진 살인적인 온도에서 작업을 했다. 회사 측은 하루 두 번씩 ... ...
이웃별에서 지구 닮은 행성 찾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밝아지거나 그 별의 상(像)이 뒤틀리거나 여러 개가 되는 현상이다. 멀리 있는 별은
광원
, 가까이 있는 별은 일종의 렌즈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몇 시간에서 며칠에 걸쳐 지속되는데,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 가까이 있는 별(렌즈)의 질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 ‘렌즈 별’ ... ...
이전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